뽐뿌 포럼
전/현/무포럼 입니다.

자녀가 있다면 꼭 사립고등학교에 보내세요.575

  • [* 익명 *]
  • 등록일 2023-01-08 16:48
  • 조회수 60926
추천63공유하기

현직 사립고 정교사 입니다. 경력은 12년이고 수능과목 담당입니다. 12년 중 고3담임을 4년 했네요(2017-2020)

 

이제 고교학점제가 시작됩니다. 그럼 내신등급은 의미가 없고 학교에서 어떤 교육을 어떻게 받고 어떻게 생기부에 기술되었는지가 중요합니다. 물론 정시나 수능최저도 중요하겠죠. 

 

수능은 제외하고 이제 서연고에서도 2점대 내신이 뽑히기 시작하고 중경외시는 4점대도 합격합니다. 지거국같은경우는 특목고가 아닌데도 6점대도 합격합니다. 

 

물론 일반적인 학생들은 아니겠죠. 그런 학생들의 생기부를 뜯어보면 기록이 엄청 잘되어 있습니다. 여러가지 활동을 했고 일관되게 칭찬받고 있으며 자신의 진로도 뚜렷하고요. 

 

그런데 여기서 내신등급이 없어지면 앞으로는 이런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게 됩니다. 예전같으면 6,7등급 내신받는 학생도 인서울을 꿈꿀 수 있는거죠. 

 

그럼 어떨게 가능할까요? 여기서 생기부 기록이 가장 중요한데 기록은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1. 창체: 자율 진로 동아리

2. 세특: 교과세특 개인세특

3. 행발: 행동 특성

 

여기서 학생의 역량이 가장 드러나는 부분이 

1.  진로, 동아리

2.  교과 및 개인세특


이 부분이 잘 쓰여지기 위해서는 학생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요즘 생기부는 상향 평준화라 거의 모든 학생이 좋은 내용 밖에 없습니다. 

 

 

그럼 사립학교와 공립학교의 차이는 나옵니다. 

 

현재 교육에서도 굉장히 많은 사업이 있습니다. 사업이라하면 학교별로 신청해서 교육부나 행정부에서 돈을 타와서 그 목적에 맞게 돈을 사용하는 겁니다. 많게는 억대부터 적게는 수백만원 상당이죠. 

 

그런데 이 사업은 학교장의 허락하에 생기부 입력이 가능합니다. 어떤 활동이나 프로그램을 학교에서 만들어 학생들이 참여하는 방식이죠. 그래서 수십개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고 이를 생기부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차이가 생깁니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 및 기록하는건 오로지 교사의 역량 입니다. 하지만 수업도하고 프로그램도 운영해야하는데 이게 보통 귀찮은게 아닙니다. 물론 운영하는만큼 강사비도 받습니다만 공립학교 교사가 이 프로그램을 신청하고 기획하고 운영하고 기록까지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1. 안해도 불이익이 없고 2. 주변의 시선(왜 혼자 튀는지?) 3. 귀찮고 힘들고 4. 순환근무라서 지속성이 떨어져 효률성을 높이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사립학교는 기간제 교사라는 정교사가 되기위한 필수 단계가 있으며 학교 분위기 또한 이런 프로그램 운영에 상당히 우호적입니다. 또 기간제 교사가 아니더라도 순환근무가 아니고 한 학교에 오래 근무하는 사립학교의 특성상 처음 시작할때만 고생하면 계속 같은 프로그램 매년 써먹을 수 있기 때문에 정교사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프로그램에 관심있는 학교 분위기와 몇몇 관심있는 교사의 기획+정교사가 되기 위해서 자신의 능력을 입증해야하는 기간제 교사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운영되면 입시에 신경쓰는 학교분위기상 많은 교사가 같이 협력해서 시너지 효과를 냅니다. 더욱이 해가 거듭할수록 프로그램 경험이 쌓이기 때문에 양적인 부분이나 질적인부분 모두 형상되고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면 분업과 노하우가 생기고 수당같은 부분에서도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분배가 이루어져 학생도 좋고 교사도 좋은 윈윈 효과가 생기게 되는거죠.

(저 같은 경우에도 처음에는 힘들었지만 몇년 지나다보니 익숙해지고 노하우도 생겨서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해서 학생들에게 좋은 생기부 내용을 적어주고 수당도 상당히 많이 받고 있습니다. 보충수업수당보다 프로그램 참여해서 학생 관리하고 받는 수당이 훨씬 더 많고 힘도 덜 들고 수월해서 앞으로 보충수업보다는 프로그램 위주로 참여할 생각입니다.)

 

학생들도 프로그램 참여해서 생기부에 활동 입력+프로그램에 따라 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는 받을 수 없는 훌륭한 경험+간식및 때에따라 식사와 학용품+자신의 진로 탐색에 도움 등등.

 

그 결과 사립학교 학생들의 경우 진로, 교과세특, 개세특에서 많은 프로그램 참여가 기록되고 대학에서는 이를 근거로 학생들을 평가하기에 블라인드 평가지만 공립학교 출신보다 사립학교 학생들의 객관적인 생기부 내용이 좋을 수 밖에 없고 이게 입시의 차이를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이 차이는 앞으로 더욱 벌어지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사립학교도 사바사가 맞지만 대체적으로 이름 있는 사립학교는 비슷한 입시 전략을 가지고 있고 저도 앞으로 자녀를 반드시 사립학교에 보낼 생각입니다. 

 


63
추천하기 다른의견 1
|
공유버튼

다른의견 0 추천 3 [* 익명1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작성자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152 *]
2023-04-21 *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1 [* 작성자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2 추천 27 [* 익명2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6 [* 작성자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1 [* 익명2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1 [* 작성자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91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2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1 [* 익명64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91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91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1 [* 익명273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2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91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2 *]
2023-01-09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36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2 [* 익명2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64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3 [* 익명3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1 [* 작성자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143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297 *]
2023-01-09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4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5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6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7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8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9 [* 익명9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다른의견 0 추천 0 [* 익명10 *]
2023-01-08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1 2 3 4 5 6 7 8 9 10 ..45다음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