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KOVO 제공 |
2시간 35분에 이르는 혈투, 다시 한번 정관장이 기적을 쐈다.
벼랑 끝에 몰렸던 정관장이 다시 한번 무서운 반격을 이뤄냈다.
은퇴를 앞둔 김연경(흥국생명)의 라스트댄스는 최종전까지 가게됐다.
정관장은 6일 대전 충무체육관에서 열린 흥국생명과의 도드람 2024~2025시즌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5전3선승제) 4차전에서 세트스코어 3-2(25-20 24-26 36-34 25-22 15-12)로 이겼다.
인천 원정에서 1, 2차전을 모두 내주면서 우승 트로피를 내줄 위기에 몰렸던 정관장은 대전 홈에서 열린 3, 4차전을 연달아 잡으면서 승부의 균형을 맞췄다.
정관장 선수단이 똘똘 뭉쳤다.
3차전 반격의 신호탄을 쐈지만, 여전히 한 번만 져도 시리즈가 끝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정관장은 자신감을 잃지 않았다.
이날 역시 팀 블로킹(9-15)과 팀 범실(24-14)에서 모두 흥국생명에게 뒤졌지만 투혼을 발휘하면 승리를 따냈다.
사실 세트스코어 1-1에서 3세트 긴 듀스 끝에 36-34로 잡아내며 승기를 잡는 듯 했다.
하지만 4세트 노련한 김연경의 활약에 밀리며 흐름을 내줬다.
특히 5세트 시작과 동시에 김연경과 정윤주, 피치로 이어지는 흥국생명의 삼각편대에 밀려 7-10으로 밀렸다.
챔프전, 그것도 5세트 특성상 패색이 짙은 상황이었다.
![]() |
사진=KOVO 제공 |
정관장의 뒷심은 꺼지지 않았다.
염혜선이 날카로운 서브로 흥국생명의 리시브 라인을 흔들었고, 메가가 기운찬 스파이크를 연달아 꽂아넣으면서 단숨에 10-10 동점을 만들어냈다.
바통을 이어 받은 것은 부키리치였다.
리베로 노란의 디그쇼가 펼쳐졌고, 부키리치가 연속 오픈 공격과 블로킹까지 곁들이며 13-11로 역전에 성공했다.
흐름을 완전히 가져온 정관장의 마무리 주자는 메가였다.
연이어 오픈 공격을 코트에 꽂으며 충무체육관을 열광에 빠트렸다.
3차전에서 40점을 올린 영웅 메가는 이날도 공격성공률 47.37%, 38득점을 폭발시키며 승리를 이끌었다.
부키리치 역시 공격성공률 50.98%의 고감도 스파이크를 자랑하며 28점을 기록, 힘을 보탰다.
정관장은 이 기세 그대로 V리그 여자부 역사상 단 한 번 있었던 챔프전 역스윕에 도전한다.
2022~2023시즌 챔프전에서 한국도로공사가 흥국생명을 상대로 2패 뒤 3승을 거두며 정상에 오른 바 있다.
메가는 “체력 저하로 컨디션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파이널에 온만큼 최대치로 끌어올리겠다는 각오”라고 전했다.
고희진 정관장 감독은 “이제 다시 인천으로 간다.
정말 멋진 경기를 치르고 싶다”며 “모두가 박수를 칠 수 있는 경기를 준비해보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흥국생명은 2년 전에 이어 또 한번 역스윕의 공포감에 휩싸였다.
이날 정관장보다 범실도 적었고, 블로킹은 앞섰지만 결국 서브라는 키워드에서 밀렸다.
서브에이스에서 3-7로 밀렸고, 리시브에서도 김연경을 제외한 공격수들의 수비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 무너졌다.
김연경의 험난한 라스트댄스다.
올 시즌 은퇴를 선언한 김연경은 챔프전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3차전에서 29점을 기록한 데 이어 이날도 32점으로 팀 최다득점을 올렸지만, 웃지 못했다.
은퇴를 번복하며 마지막 우승 타이틀을 바라보고 있는 김연경의 꿈이 이뤄질지 시선이 쏠린다.
![]() |
사진=KOVO 제공 |
대전=김진수 기자 kjlf2001@sportsworldi.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