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부터 딥페이크 불법 합성물을 비롯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 신고 접수 창구가 ‘1366’으로 일원화된다.
365일 24시간 피해 접수를 할 수 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16일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17일 시행돼 중앙·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출범한다고 밝혔다.
2018년부터 운영된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는 피해 상담 및 삭제 지원 뿐 아니라,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교육·컨설팅, 지역 센터 지원 등 신규 업무를 추가해 중앙 디성센터로 확대된다.
지역 특화 상담소와 지역 지원기관(서울, 경기, 인천, 부산)은 지역 디성센터로 전환돼 전국 17개 시·도에서 운영된다.
![]() |
2024년 11월 6일 서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앞에 딥페이크 예방 관련 포스터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
지난해 11월6일 관계부처는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겠다고 했다.
디성센터를 찾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은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피해 접수 인원이 처음으로 1만명을 넘어 전년 대비 14.7% 늘어난 1만305명을 기록했다.
17일 오후에서 서울 중구 인권진흥원에서 중앙 디성센터 확대 출범을 알리는 현판식도 열린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 이인선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신 차관은 “365일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1366로 피해 영상물 확산 방지를 위한 최적 시간(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신속히 피해자를 지원하는데 보다 도움이 될 것”이라며 “디성센터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와 지원을 도맡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