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땅꺼짐 대책 떠오른 GPR 탐사…2m 한계에 "실효성 의문"


"고성능 GPR 장비 도입해야"
노후 하수관 정비 병행 필요성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꺼짐)'이 발생한 가운데, 지난달 25일 오전 현장이 통제돼 있다. /이새롬 기자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꺼짐)'이 발생한 가운데, 지난달 25일 오전 현장이 통제돼 있다. /이새롬 기자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최근 서울시에서 잇따라 발생한 땅꺼짐 사고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지하투과레이더(GPR) 장비를 활용해 주요 도로를 정밀 조사하고, 지반 침하 우려 지역 집중 점검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지하 2m 깊이까지만 탐사 가능한 GPR 탐사 실효성에 전문가들의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1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전날 중랑구 신내동 일대 중랑구청 인근에서는 깊이 1m 가량의 땅꺼짐이 발생했다. 지난 13일에는 지하철 5호선 강동역 1번 출구와 마포구 애오개역 인근에서 땅꺼짐이 발생했다. 특히 강동역 1번 출구에서 발생한 땅꺼짐은 지난달 24일 두 명의 사상자를 낳은 동남로 대명초교 인근 대형 땅꺼짐 사고 현장에서 불과 3km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이에 시는 도시·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 5곳(49.3㎞)과 주변 도로에 대한 GPR 탐사를 5월 말까지 집중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지반 침하가 우려되는 점검지역 50곳(45㎞)에 대한 탐사도 이달 말까지 완료한다. GPR은 전자파를 이용해 지하의 공동이나 토질 불균형을 비파괴 방식으로 탐지하는 기술로, 굴착 없이 지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오후 '안전점검 회의'에서 지반침하 안전관리 대책 등 주요 시민안전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오후 '안전점검 회의'에서 지반침하 안전관리 대책 등 주요 시민안전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

그러나 현재 시행 중인 GPR 탐사는 지하 2m 깊이까지만 탐지할 수 있어, 깊은 싱크홀이나 예측이 어려운 대규모 지반침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8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깊이 2.5m 싱크홀이 발생하기 3개월 전 이뤄진 GPR 탐사에서는 별다른 이상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더팩트>와 통화에서 "땅의 밀도를 추정하는 GPR은 2m 지반 아래까지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 유지보수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예측 불가한 대규모 싱크홀 조사에는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고성능 GPR 장비 도입을 통해 현재의 탐사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현재 2m 깊이까지만 탐사 가능한 장비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라며 "최소 5~6m 깊이까지 탐지할 수 있는 고성능 GPR 장비 도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투자와 장기적인 탐사 발주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노후화된 상하수도관의 교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866㎞ 중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3300㎞(30.4%)에 달한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지반침하 867건 중 394건(45.4%)이 하수관 손상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후 상하수도관 정비·교체를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노후 상하수도관 정비·교체를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snow@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