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자동차와 차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스마트폰·PC 등 일부 전자제품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 데 이어, 자동차·부품에도 관세 면제를 적용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한시 관세 면제 조치를 검토하는 특정 물품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자동차 기업들을 도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그들은 캐나다, 멕시코와 다른 지역에서 생산하는 부품을 이곳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하고 있다"며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부터 수입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발효했고, 다음 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 관세를 발효할 예정이다.
하지만 자동차 관세 발효 약 2주 만에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추가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그는 애플 제품이나 스마트폰 등이 관세 예외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마음을 바꾸지 않았지만 난 매우 유연한 사람"이라며 "난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쩌면 어떤 게 나올 수도 있다"며 "그러나 최종 결과는 미국이 위대한 위치가 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스마트폰, PC,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20개 전자제품을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관세 예외를 발표한 적이 없고 반도체, 공급망 전체를 살펴볼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관세 전쟁에서 후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