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산불 피해지역의 산사태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담 조직(TF)을 가동했다.
최근 대규모 산불로 산림이 광범위하게 소실되면서 지반이 약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오병권 자연재난실장 주재로 열린 10일 첫 회의에는 행안부와 국토교통부, 산림청은 물론 울산·경북·경남 등 지방자치단체, 한국도로공사, 국토안전관리원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사면 재해 예방을 위한 기관별 추진 상황과 협조 사항을 논의했다.
또한 여름철 집중 호우가 시작되기 전까지 산불 지역의 위험 요인을 확인·조치하기로 했다.
이번 산불로 옹대·축대 및 낙석방지시설 등이 훼손돼 집중 호우 시 사면 붕괴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오 실장은 "민관이 협력해 산불 피해지역의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사면 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했다.
행안부는 산림·도시계획·구조 등 각 분야의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9개 부처 130여명 규모의 합동 조사단을 구성해 오는 15일까지 현지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행안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30일까지 영남권 11개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4만8239㏊가 불탔다.
축구장(1㏊) 4만8239개, 여의도 면적(290㏊)의 166배에 달한다.
사망 31명·중상 9명·경상 42명 등 총 82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시설 피해는 8132곳으로 이 중 주택 4236곳(52%), 농업시설 3151곳(39%)이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