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호 관세가 한국시간으로 9일 오후 1시1분을 기해 발효됐다.
34% 관세로 맞대응한 중국의 상호관세율은 기존 34%에서 84%로 50%포인트 상향 조정돼 관세폭탄을 맞게 됐다.
우리나라는 25% 관세가 붙게 돼 대미 수출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지난 5일 10%의 기본 상호관세에 이어 9일 0시1분(현지시간)부터 한국을 비롯해 최소 80여개 국가에 최소 11%에서 최고 50%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한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 25%의 관세를 적용받는다.
미국 정부가 '최악의 침해국(worst offenders)'으로 분류한 캄보디아(49%), 베트남(46%), 태국(36%,) 대만(32%), 인도(26%), 일본(24%), 유럽연합(EU·20%) 등도 기본 관세 이상의 상호관세가 부과된다.
특히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미국과 대립 중인 중국의 경우 대중국 관세가 무려 104%로 치솟았다.
양국이 양보 없는 관세전쟁을 이어가면서 미·중 갈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8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담화문에서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불법 이민자, 펜타닐 유입 등으로 25% 관세를 맞았던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빠졌다.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발표 당시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상품에는 무(無)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상호관세 발표와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 맞춤형 협상에 들어간 상태다.
상호관세 협상을 이끌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약 50개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미 의회 상원 재무위원회에 출석해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우리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더 나은 구상이 있다면 (다른 국가와) 대화, 협상하고 싶다"며 "우리는 열려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상호관세 후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과 협상에 나설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 통화하고 관세, 조선,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입,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비용)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의 권한대행과 좋은 통화를 했다"며 "그들 최고의 팀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고 상황은 좋아 보인다"고 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