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최강 동안’ 워커홀릭 60대 가득한 한국…“대체 몇 살부터 ‘노인’인가요?” [수민이가 궁금해요]

서울 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은 70세
시민 90%, 고령화에 따른 정년연장 ‘동의’


서울시민은 평균적으로 70세부터를 ‘노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시민 10명 중 9명은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에 동의했다.


평균 나이가 64.5세 시니어 패션모델들로 이루어진 그룹 ‘아저씨즈’. 가운데는 시니어 인플루언서이자 모델 김재우씨. 김재우씨 제공
9일 서울시에 따르면 ‘2024 서울서베이’의 하나로 시민 5000명을 대상으로 노인 연령 기준을 물은 결과 평균 70.2세로 나타났다.

연령기준을 세분화했을 때 응답은 70∼74세가 51.7%로 가장 많았다.
이어 75세 이상(23.3%), 65∼69세(18.1%), 60∼64세(6.6%), 60세 미만(0.3%)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연령대로 구분하면 65세 미만은 69.8세, 65세 이상은 72.3세를 적정한 노인 기준연령으로 꼽아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 연령기준도 높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민은 평균적으로 70세부터를 ‘노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여부에는 87.8%가 동의했다.

적정 은퇴 시기는 65∼69세(40.5%),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는 250만원 이상(5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65세 이상 시민의 노후 희망 활동은 취미·교양 활동(78.8%)이나 소득 창출(70.3%)이 손자녀 양육(33.5%)보다 높았다.

서울시내 2만가구(가구원 3만6280명)를 대상으로 한 서울서베이 조사에서는 10가구 중 4가구(39.3%)가 1인가구로 나타났다.

1인가구 연령대는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고 20∼30대 34.9%, 40∼50대 24.5%였다.

1인가구의 어려움은 균형 잡힌 식사(4.79점), 아프거나 위급시 대처(4.71점), 가사(4.69점), 고립에 따른 외로움(4.43점), 경제적 불안(4.17점) 등이었다.

서울시내 5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으로 파악됐다.
클립아트코리아
서울시내 5가구 중 1가구(19.5%)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으로 파악됐다.

77.8%가 개를, 19.2%는 고양이를 키웠다.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가구도 2.6%였다.

서울가구의 76.6%는 통근·통학을 하며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버스(27.7%), 승용차(22.1%), 버스+지하철(19.7%), 지하철(13.0%), 도보(12.9%) 순이다.

통근·통학 소요시간은 30분∼1시간 미만 48.2%, 1시간 이상 12.8%였다.
통근·통학 만족도는 6.57점으로 6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72%는 ‘중간’이라고 답했다.
‘하’는 24.6%, ‘상’이 3.4%였다.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년 연속 상승했다.

서울 거주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에 살면서 느끼는 삶의 질 만족도는 6.97점으로 전년(6.72점) 대비 0.25점 높아졌다.

항목별 만족도는 복지환경(7.16점), 경제환경(7.04점), 도시안전(7.03점), 사회환경과 교육환경(각 6.92점) 등이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