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따라 3058명·5058명 갈려
고학년 복귀 분위기… 예과 ‘미미’
“복학생 신상유포 행위 엄정 대응”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규모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가운데 교육부가 이번 주 수업 상황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대학은 수업 불참자에게 유급 예정 통지 등 후속 조치에 들어갔다.
![]() |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앞에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시스 |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주에는 온라인 수업을 병행한 곳이 많았으나 차츰 전면 대면 수업으로 전환할 예정”이라며 “수업에 의대생들이 얼마나 참여하는지 보고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한다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2024학년도와 같은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약속했다.
수업 참여율이 낮으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은 5058명이 된다.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본과 耳·4학년생은 수업에 많이 복귀했으나 아직 본과 1·2학년과 예과생의 복귀율은 높지 않다.
교육부는 기한을 정하지 않고 일단 상황을 지켜본다는 방침이지만, 이달 말까지 각 의대가 모집인원을 확정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통보해야 하는 일정을 고려하면 이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까지는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의 수업 참여율이 관건인 셈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학년이 돌아오면 분위기가 같이 움직이는 게 있어서 (예과생도 돌아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엔 학사 유연화는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 이날부터 일부 대학은 수업 불참 학생들에게 유급 예정 통지서를 발송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복귀 의대생들의 보호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메디스태프 등 일부 의사·의대생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복학생 신상 유포 등의 행위에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최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게시물 삭제 등 조치가 있었으나 이후에도 메디스태프 관련 제보가 또 들어왔다”며 “또다시 메디스태프에서 수업 복귀자 명단이 오간다는 민원이 들어오면 방심위에 사이트 폐쇄 요청을 하고, 수사를 의뢰하는 등 할 수 있는 것은 다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