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EU, 美 빅테크 규제 만지작… 아세안 “모든 힘 활용” [트럼프 ‘상호관세’ 쇼크]

각국 대응 어떻게
佛 “데이터 사용 규제 가능성” 언급
서비스·디지털 부문 보복 내비쳐
캄보디아·라오스 등 공동대응 모색
日총리는 트럼프와 정상 통화 추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60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맞불 관세를 놓은 데 이어 유럽연합(EU)이 미국 빅테크에 대한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등 주요국의 보복이 가시화하고 있다.
증시 급락 등 관세로 인한 경제적 파장에 대비하는 모습도 보였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에리크 롱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이날 보도된 프랑스 주간 주르날뒤디망슈와 인터뷰에서 관세 대응과 관련해 “우리는 유럽 차원에서 규제, 재정, 관세 등 여러 수단을 쓸 수 있다”며 “예컨대 특정 환경 요구조건을 강화하거나 특정 디지털 업체들의 데이터 사용을 규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세금을 매기는 것은 비생산적이고, 미국 경제만큼 우리 경제에도 해를 끼친다”며 “따라서 우리는 정확한 방식으로 특정 산업 부문을 대상으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리크 롱바르 프랑스 재무장관. AFP연합뉴스
롱바르 장관은 미 빅테크의 데이터 사용 규제를 어떤 방식으로 강화할지는 밝히지 않았으나, “EU 규정은 미국의 활동에 대한 과세를 허용하며, 모든 선택지가 열려 있고 논의 중”이라고 덧붙여 EU가 미국의 서비스·디지털 부문을 겨냥한 보복에 나설 가능성을 내비쳤다.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통화해 “무역 전쟁은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데 공감하면서 서로 입장을 긴밀히 조정하기로 했다고 양측이 전했다.
스타머 총리는 텔레그래프 일요판 기고를 통해 “즉각적인 보복보다는 냉정한 접근법을 취할 것”이라면서도 “모든 선택지를 상정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캄보디아 49%, 라오스 48% 등 초고율 관세를 얻어맞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들도 공동 대응을 모색 중이다.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태국·인도네시아 정상 등과 대화했다며 “각자로는 충분치 않다.
각국 경제 보강을 위해서는 아세안의 모든 힘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동남아 각국 역시 당장의 보복 조치보다는 미국산 수입 확대 등을 통해 관세율을 낮추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예상보다 높게 나와 곤혹스러운 처지에 몰린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는 ‘초당적 대처’를 위해 지난 4일 취임 후 첫 여야 대표회담을 연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 통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폭언을 폭언으로 응수하는 식은 할 생각이 없다”며 즉각 보복엔 선을 그으면서도 “내가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하는 게 적당하다면, 가장 적절한 시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상대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줘룽타이(卓榮泰)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은 5일 소집한 고위급 회의에서 청명절(淸明節) 연휴로 지난 3, 4일 휴장한 대만 증시가 7일 개장하면 받을 관세 충격에 우려를 나타냈다고 연합보가 전했다.
이 매체는 7일 ‘블랙 먼데이’가 발생하면 5000억대만달러(약 22조원) 규모의 국가금융안정기금을 통해 증시에 개입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쿄=유태영 특파원 anarchyn@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