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을 살리겠다며 수입품에 광범위한 관세를 매길 계획을 밝혔으나, 정작 미국인 대다수는 이런 정책에 반대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지난달 27일부터 6일 동안 미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4%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4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48%)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지지 응답이 42%로 줄었다.
특히 응답자의 4분의 3은 트럼프의 수입 관세 폭탄 이후로 물가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우려했다.
최근 소비자들의 식품과 생필품 사재기 열풍도 이같은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사람이 늘었다.
대선 직전인 지난해 10월에는 트럼프의 경제정책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40%로 찬성한다는 응답(50%)보다 적었지만, 지금은 반대(52%)와 찬성(44%)이 뒤집혔다.
현재 미국 경제가 악화하고 있다는 답변은 52%로 지난 1월 여론조사(37%)에 비해 급증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한 유권자의 93%는 여전히 그를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지지자 중에도 그의 방식에 대해서는 의문을 지닌 유권자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응답자의 54%는 정부 예산 삭감으로 수많은 공무원이 해고되고, 납세자에 대한 각종 혜택과 정부 서비스 등이 사라지는 것을 우려했다.
불법 체류 외국인 구금 및 추방에는 53%가 찬성했다.
그러나 이들을 반드시 추방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많았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