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영남지역 산불 피해자를 대상으로 긴급 생계비 300만원을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화재 이후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련 점검에 나선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회의를 열고 "산불 피해지역의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위험목 제거와 조림 등 예방 사업을 조속히 실시하고 우기 전까지 산사태 등 토사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련해 산림청이 울산 울주군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산사태 우려 지역을 점검했다고 덧붙였다.
고 본부장은 "평가 결과에 따라 응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항구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1972세대, 총 3274명이 임시 대피 중이다.
임시 대피 시설 생활을 접고 임시숙박시설로 옮긴 이들은 약 2400명으로 파악된다.
현재까지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인 국민 성금은 약 925억원이다.
인명·주택 피해자를 대상으로 긴급생계비 300만원을 우선 지원한다.
아울러 정부는 오는 15일까지 진행하는 중앙 재난피해 합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기 복구계획을 이달 말까지 세워 확정할 계획이다.
고 본부장은 "향후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피해지역의 특성까지 반영한 공동체로 회복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과 재정 지원 내용까지 포함한 특별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달 말까지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한 시기인 만큼, 관계기관의 철저한 산불 예찰 및 감시와 함께 국민 여러분의 산불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