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의 모든 아파트 단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인접 지역의 집값 상승이라는 ‘풍선효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성동구 등 토지거래허가제로 묶이지 않은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세가 포착됐다.
![]() |
게티이미지뱅크 |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전보다 상승 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상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집값 상승 폭은 눈에 띄게 둔화됐다.
강남구의 집값은 이번주 0.21% 상승했지만,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직전인 3월 셋째주(0.83%)에 비해 4분의 1 수준으로 내려온 것이다.
서초구의 상승률도 같은 기간 0.69%에서 0.16%로 크게 축소됐다.
송파구는 규제 직후 0.03% 하락했으나 이번 주 0.28% 상승하며 반등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직전 0.79% 상승했던 것에 비하면 여전히 상승 폭이 둔화된 모습이다.
용산구 역시 0.20%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 거래는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에서는 압구정동 은마 아파트가 단 2건 거래됐다.
서초·송파·용산구에서는 거래가 없었다.
반면 토지거래허가구역에 포함되지 않은 인접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세가 관측됐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성동구는 금호·응봉동을 중심으로 0.30%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금호동 ‘금호대우’ 전용 84㎡는 지난달 26일 16억5000만원(19층)에 거래되면서 전달(14억6500만원, 19층) 대비 1억8500만원 상승했다.
같은 단지의 전용 59㎡도 같은날 13억9000만 원(20층)에 팔리면서 전달(11억9000만원, 14층) 대비 2억원이나 올랐다.
지역 부동산 중개업소들은 “강남 갭투자가 어려워지면서 반사이익을 기대한 집주인들이 매물을 회수하고 가격을 높이는 분위기다.
금호·옥수동 일대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 지역은 강남, 용산, 성수동 등과 가까우면서도 토지거래허가구역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 |
게티이미지 |
노원구(-0.02%), 도봉구(-0.03%), 강북구(-0.02%) 등 일부 지역은 하락 전환됐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 관망 심리가 확산하면서 거래량이 줄었지만, 재건축 추진 단지 등에 대한 국지적 수요는 여전해 시장 분위기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는 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지만, 인접 지역으로의 풍선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며 “강남과 용산 인근 성동·마포구 등의 주택 수요가 집중되는 만큼, 정부가 장기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규제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