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운동 중 가벼운 뇌진탕도 최소 1년간 지켜봐야 하는 이유 [필수 건강, 이것만!]

뇌졸중 발생 위험 1.9배 높아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는 뇌졸중 발생 위험이 1.9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외상성 뇌손상 후 뇌종중 발생 위험은 1년이 지나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국립교통재활병원 연구소) 이자호 교수·최윤정 연구교수팀은 전국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7년 이상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8일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와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이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부터 심한 경우 뇌부종, 지속적 혼수,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을 포함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청장년층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연구팀이 뇌졸중을 뇌경색, 뇌출혈, 지주막하출혈로 구분해 발생 위험을 비교한 결과 1000인년(인구 1000명을 1년간 관찰했을 때 뇌졸중이 발생할 확률)당 전체 뇌졸중 발생률은 환자군과 대조군이 각각 3.82%, 1.61%였다.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전체 뇌졸중 발생 위험이 1.89배 높았다.
유형별로 뇌출혈이 2.63배로 가장 높았고, 지주막하출혈 및 뇌경색은 각각 1.94배, 1.60배였다.
이는 외상성 뇌손상 후 1년 이상이 지나도 지속됐다.
연구팀이 외상성 뇌손상 발생 후 1년이 지난 환자만 분석한 결과, 전체 뇌졸중 위험이 대조군 대비 1.09배 높았고, 특히 뇌출혈 위험이 1.2배 높았다.

연구팀이 외상성 뇌손상 유형에 따라 뇌진탕, 뇌진탕 외 손상, 두개골 골절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뇌진탕 외 손상군, 두개골 골절군은 대조군 대비 뇌출혈 위험이 각각 약 9배, 5배 증가했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군도 뇌출혈 위험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등 신체활동이 잦은 청장년층이 뇌진탕을 경험한 경우, 가볍게 넘기지 않고 뇌졸중 예방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다.
서울대병원 이자호 교수(왼쪽부터), 정성훈 연구교수, 순천향대병원 천성민 교수
이자호 교수는 “50세 미만 청장년층이라도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했다면 정기 검진을 통해 혈당·콜레스테롤 등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등 일찍부터 뇌졸중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특히 젊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자신의 뇌졸중 위험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뇌졸중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심장협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주목할만한 연구로 소개됐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