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제3급 법정 감염병)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올해 처음 발견됨에 따라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남에서 이달 24~26일 채집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 발견일인 3월30일보다 사흘 이른 것으로, 질병청은 제주와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전년보다 6.2도나 오르면서 모기 활동이 빨라진 결과로 추정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한다.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활동 정점을 찍는다.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5~15일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을 겪는다.
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도 이어져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 가운데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
뇌염에서 회복되더라도 환자의 30~50%는 손상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질병청은 일본뇌염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현재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2012년 이후 출생자를 대상으로 일본뇌염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으며, 접종 가능 지정의료기관과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 일본뇌염 예방 접종을 한 적이 없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이들 지역에서 활동할 예정인 경우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필리핀, 태국, 베트남, 중국, 일본 등 일본뇌염 위험 국가를 여행할 계획이 있는 이들도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올해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향후 모기 활동 기간에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며 "국가 필수예방접종 대상 아동은 예방접종을 제때 완료해 달라"고 당부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