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에 미국과 인접한 두 나라가 상반된 해법을 선보였다.
멕시코는 협상 전략을 제시했지만, 캐나다는 강력한 보복 조치로 대응하기로 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정례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분야의 경우 미국 정부에서 발표한 것처럼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적용받는 부품에 대해선 당분간 무관세가 유지된다"며 "우리는 협상을 통해 새로운 조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4월2일께 미국뿐만 아니라 멕시코도 전 세계를 향해 전략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멕시코는 미국과 활발하게 협의하고 있다.
우리가 (미국과) 이 정도의 의사소통을 하는 유일한 나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지금까지 최소 6차례 만났다고 밝혔다.
그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미국산 부품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미 당국에서 인지하고 있다.
그 사용 정도에 따라 관세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부품은 관세 면제가 될 수 있도록 협상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제조업체들이 국경을 넘을 때 중복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유연한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힌 멕시코와 달리 캐나다는 보다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깊은 경제 통합과 긴밀한 안보 및 군사 협력을 바탕으로 했던 미국과의 오래된 관계는 이제 끝났다"며 "우리의 노동자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어떤 선택지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에 최대한의 피해를 주고 캐나다는 최소한의 피해로 그치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며 "미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포괄적인 협상을 통해 일부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과거로 되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되기 위한 조건으로 미국이 캐나다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주권을 존중해달라는 것은 우리 입장에선 그리 대단한 요구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에겐 큰 문제인 듯하다"라며 "캐나다는 주권 국가이고 결정은 우리가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