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과 관련해 그간 직간접적으로 지원을 받은 북한과 중국 등과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28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최북서단 무르만스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크라 휴전 협상과 관련해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움직임도 환영한다“고 말했다.
![]()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연합뉴스 |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 등 모든 브릭스 국가와 다른나라들이 있으며, 북한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중재로 이뤄지는 휴전 협상 과정에서 파병 북한군 문제도 주요 이슈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또 러시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올해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과 군사기술 등의 분야에서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6월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것을 재차 언급하면서 “제4조는 우리가 서로를 지원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며 “(북한과) 군사 및 군사기술 부문에서 이같은 협력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제4조는 “쌍방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들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러시아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차기 대선 및 휴전 협정 서명을 위해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유엔, 미국, 유럽 국가들 및 우리 파트너들의 지원 아래 우크라이나에 임시 정부가 들어설 수 있다”며 “이는 민주적 선거를 실시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정부가 들어서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그 다음에는 평화 조약과 관련해 그들과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연합뉴스 |
또 푸틴 대통령은 유럽 동맹국보다 러시아와 밀착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서는 우호적 발언을 이어갔다.
푸틴 대통령은 “내 생각에는 미국의 새 대통령은 수많은 이유로 갈등을 끝내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했다.
이밖에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포함해 어떤 갈등에서도 평화적인 수단으로 평화적 해결을 선호한다”면서도 “우리의 비용으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날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과정에서 유럽과 미국을 분열시키려 한다고 비난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지원 국제 정상회의 이후 별도 회견에서 “미국이 러시아에 대해 더 강해질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완전한 휴전안을 거부했을 때 미국이 러시아에 제재를 가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러시아가 흑해상의 휴전을 위해 요구하는 대러 제재 해제를 유럽이 받아들일 경우 “매우 위험한 신호를 보낼 것”이라며 “서방이 이를 받아들여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과 진행 중인 광물 협정에 대해 “미국이 거래 제안 조건을 지속적으로 변경하고 있다”며 “다만 우크라이나가 (이 협정에) 반대한다는 인상을 미국이 갖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