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관세 정면돌파' 정의선, "4년간 31조 美 투자"…트럼프 "관세 안내도 된다"(종합)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설립을 포함해 향후 4년 동안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신규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정 회장은 "역대 미국 투자 중 사상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대규모 대미 투자로 현지 생산 능력을 확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투자는 관세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명확한 증거"라며 "현대차는 미국에서 철강과 자동차를 생산하고 그 결과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24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 주재한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현대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백악관 행사에는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과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성 김 현대차 사장 등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1986년 미국에 진출한 이후 200억달러를 투자했고 57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향후 4년간 210억달러를 신규 투자한다는 소식을 전해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투자의 핵심은 철강, 부품, 자동차 분야까지 미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특히 루이지애나 제철소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함으로써 1300개의 미국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한편 미국 내에 보다 자립적이고 안전한 자동차 공급망 구축의 기반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에너지 산업 지원 및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3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우리는 사업을 확장하고 미국 내 일자리를 더욱 늘릴 것"이라며 "현대차그룹은 미국 산업의 미래에 있어 더욱 강력한 파트너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 회장 발언에 앞서 "현대차처럼 훌륭한 기업(truly great company)을 모시게 돼 영광"이라고 말했다.
그는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연간 270만t 이상의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인 철강 노동자를 위해 1400개가 넘는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현대차의 앨라배마, 조지아의 자동차 부품·완성차 공장에 철강을 공급하고, 이들 공장은 곧 연간 100만대 이상의 미국산 자동차를 생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알다시피 미국 내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관세는 없다"며 "과거엔 미국에 진출할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수많은 기업들과 공장들이 들어오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현대차는 이날 루이지애나 제철소 설립을 포함해 총 21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세부적으로 ▲자동차 생산에 86억달러 ▲부품·물류·철강에 61억달러 ▲미래 산업·에너지에 63억달러를 투자한다.
현대차는 오는 26일 준공식이 예정된 미국 내 세 번째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통해 현지 생산 능력을 20만대 증설, 연간 총 120만대 이상의 현지 생산 역량을 확보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2기 후 한국 기업으로는 처음인 이날 이날 현대차의 신규 대미 투자 발표는 4월2일 트럼프 대통령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를 일주일 여 앞두고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수입 자동차에 25%에 이르는 품목별 관세 부과도 예고하며,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라고 여러 차례 주문해 왔다.
이에 현대차는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 생산 능력을 확충해 관세폭격을 뚫고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대만 TSMC, 일본 소프트뱅크도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후 백악관에서 대규모 대미 투자안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자동차 부문은 한국 입장에서 대미 무역흑자가 큰 품목이라 이번 현대차의 투자 계획이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미칠 영향에도 이목이 쏠린다.
미국은 무역적자가 큰 이른바 '더티 15' 국가에 상호관세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되는데,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난해 기준 557억달러로 미국 입장에서 8번째로 무역적자가 큰 교역 상대다.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 1278억달러 중 자동차 수출은 27% 비중인 347억달러에 달한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