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가 20일 의대생 제적이 현실이 된다면 앞장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2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김 대변인은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에서 휴학원을 반려한다며 제적을 언급했는데 총장님들께 휴학 신청이 불법인지, 개인 사유로 신청한 휴학을 승인하지 않는 게 일반적인지 묻고 싶다"며 "학생들이 대학으로 돌아가도록 좀 더 인내해 달라"고 했다.
이어 "의협이 책임지고 문제를 풀어갈 테니 학생들은 제자리로 돌아가라고 얘기하고 싶지만, 사태의 핵심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렇게 요구하는 것은 올바른 처사가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의대생들에게 "누구에게도 결정을 강요하지 말고 스스로 묻고 답한 후 판단해달라. 각자의 판단을 존중하겠다"며 "생각조차 하기 어려운 문제이지만 만약 제적이 현실이 된다면 의협은 의대생 보호를 위해 가장 앞장서서 투쟁하겠다"고 전했다.
투쟁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시위·집회·파업·태업 등 여러 가지 방법 모두 고려하고 있지만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정부를 향해 "작년 2월 이후 정책 실패와 공권력 남용에 대해 사과한 적이 없다"며 "정말 학생들이 복귀해 미래를 준비하기를 원한다면 진솔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의협은 전날 발표된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에 대해서는 "더는 어설픈 설계로 의료를 왜곡하지 말고 의료계 의견을 경청해 시급한 의료 현장 문제부터 협의를 통해 해결하자"고 요청했다.
구체적으로는 "지역 의료기관의 어려움은 인력뿐 아니라 수요적 측면에도 기인한다"며 "구조 전환 등으로 지역 의료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것은 단편적인 시각"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 병행 진료가 불필요한 경우의 명확한 기준 설정이 어렵다"라거나 "의료계를 위한 가칭 의료사고처리특례법 제정에 대한 아무런 실행 방안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서울대 의대 교수 4명이 최근 복귀를 반대하는 전공의 등을 향해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
오만하다'고 비판한 데 대해선 "충정에서 우러난 충고로 이해하고 싶지만, 이야기에도 적절한 때가 있다"며 "의도가 어찌 됐든 표현이 과한 부분이 있다면 사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