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 교체를 바라는 응답이 과반에 육박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다.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0일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영상을 공개했다. 이 전 대표는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고 고통 없는 삶을 추구하는 '먹사니즘'을 넘어, 실용주의를 앞세워 더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잘사니즘' 등을 강조했다. 이재명 캠프 제공 |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48%,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7%를 기록했다.
정권교체 응답은 지난주 대비 3%포인트 하락했고 정권 재창출 응답은 4%포인트 상승했다.
차기 대통령 적합도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2%,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12%, 홍준표 대구시장 7%,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각 5% 순이었다.
태도 유보나 모름·무응답은 27%로 집계됐다.
이 전 대표가 차기 대통령으로 적합하다는 응답은 지난주보다 1%포인트 하락했고 김 전 장관이 적합하다는 응답은 3%포인트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김 전 장관 29%, 홍 시장 16%, 오 시장과 한 전 대표 각 11% 등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이 전 대표가 73%로 가장 높았다.
![]() |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전태일기념관에서 청년들과 전시관을 둘러본 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 |
차기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들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 '호감이 간다'는 응답 비율은 이 전 대표(35%)가 가장 높았다.
김 전 장관은 23%, 홍 시장과 오 시장 각 21%, 한 전 대표는 19%다.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가장 호감도가 높은 후보는 이 전 대표(각 72%·37%)였다.
보수층에서는 김 전 장관(49%)이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24.9%(총 4019명과 통화해 그 중 1001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