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며 대권 가도에 청신호가 켜졌다.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당내 경선에서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한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구도가 더 공고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사법리스크 우려를 일부 해소함에 따라 물밑에서 이뤄지고 있는 대선 준비 작업에도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이다.
대법원 확정판결이 남아 있지만, 이 대표로선 사법리스크 '족쇄'를 상당 부분 해소하면서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 대표가 이미 경선캠프 인선과 관련해 윤호중 의원을 선거대책위원장으로, 강훈식(총괄본부장)·윤후덕(정책본부장) 의원 등의 하마평이 거론된다.
이 대표가 이번 2심 무죄 판결로 얻는 가장 큰 이점은 중도층 내 '비토 세력'을 끌어안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합리성과 도덕성을 중시하는 중도보수, 무당층(無黨層) 등에서 지지율 상승 여지가 크다는 해석이다.
앞서 2020년 7월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 대표는 대법원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사건에 대해 무죄 취지 파기환송 하며 지지율이 급상승한 바 있다.
당의 역량을 민생보다 자신의 재판에 집중한다는 비판에서도 자유로울 전망이다.
이 대표는 2심 무죄 선고 직후 산불 피해지역인 경북 안동으로 이동해 피해 주민을 위로하며 곧바로 민생 챙기기에 나섰다.
정부·여당을 향해 신속한 추가경정예산 논의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비명계는 당장 '후보교체론' 주장에 힘이 빠지면서 입지가 좁아질 공산이 커졌다.
그간 이 대표의 선거법 2심 중형을 염두에 둔 대체 후보 양성 주장의 근거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비명계 일부 주자는 당내 경선 자체를 포기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명계 전직 의원 모임인 초일회 간사를 맡고 있는 양기대 전 의원은 통화에서 "현재 가장 중요한 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인용과 그 시기가 될 것"이라며 "당분간 상황을 관망하며 당내 경선에 대한 대응을 준비해야 하지 않나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 통합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시행 여부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윤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조기 대선이 성사될 경우 민주당은 선고 직후 10일 내 경선 후보를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조국혁신당과 비명계가 주장하는 야권 통합 오픈프라이머리 시행 여부를 논의할 전망이다.
다만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해소로 완전 국민경선을 시도해도 어대명 판세를 뒤집기는 사실상 희박하다는 해석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동연, 김부겸 등 이른바 비명계 유력 대권 주자들의 경우 민주당 소속으로 오픈프라이머리에 참여를 검토할 여지가 있다.
그래야 이 대표에게 압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면서도 "자칫 이마저도 그들만의 잔치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