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실전 재테크]오락가락 트럼프, 안전자산 '金'으로 몰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전 세계 증시가 요동치고 있다.
달러마저 오락가락 정책에 급락 쇼크를 맞자, 전 세계 투자자들이 금으로 몰리고 있다.
금 가격이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당분간 금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 가격 역대 최고치 기록

15일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지난 13일 온스당 금 가격은 3237.93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고가로, 1년 사이 약 40% 올랐다.
금 가격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지난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한 이후 불과 일주일 사이 4%가 올랐다.


최근 금 가격의 가파른 상승은 트럼프 행정부의 극단적인 관세 정책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한 이후 8일까지 미국 나스닥 지수는 5거래일 동안 13.26% 급락했다.
그러나 9일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상호관세 적용을 90일 동안 유예한다고 발표하자 나스닥 지수는 하루 동안 12.16% 오르며 역대 두 번째로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국내 금 가격도 상승세다.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1㎏ 금현물(24K·순도 99.99%)은 14일 g당 15만원에 육박한 14만8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월 기록한 최고가에 근접했다.



세계 중앙은행, 금 매수 늘린다

금 가격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요소는 수요다.
금은 생산량이 비탄력적이어서 수요에 따라 가격이 오른다.
그중에서도 세계 중앙은행의 수요가 큰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10~2021년 세계 중앙은행이 사들인 평균 금의 양은 481.36t이다.
이 기간 온스 당 금 가격은 코로나19 기간 잠시 2000달러를 찍은 것을 제외하곤 줄곧 2000달러 아래에 머물렀다.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이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 등 지정학적 불안감이 커지자 세계 중앙은행은 금 매수를 대폭 늘렸다.
2021년 금 매수량은 450.11t에 불과했으나, 2022년 1080.01t으로 2배 이상 늘린 뒤 2023년 1050.81t, 2024년 1044.63t으로 3년 연속 1000t 이상을 사들이고 있다.
그 결과 금 가격은 온스 당 2000달러를 넘어, 현재 3000달러 지붕마저 뚫었다.


금 가격을 결정하는 또 다른 주요 요소는 달러화와 물가다.
달러화가 약세일 때와 고물가일 때 금 가격이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다.
금이 달러화로 거래되고 가치 저장 수단으로 금이 화폐 가치를 일부 대신하기 때문이다.
14일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 11일 99.00까지 급락한 뒤 소폭 반등했으나, 99.81로 여전히 100선을 밑돌고 있다.
달러인덱스는 1월 고점 대비 9% 넘게 하락하며 금 가격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


금 가격은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WGC가 지난해 68개국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관의 69%가 향후 5년 안에 금 보유 비중을 늘리겠다고 답했다.
달러화 약세, 고물가, 금 수요 증가 등 3박자가 맞물리며 금 가격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WGC는 지난 2월 발표한 '금 수요 트렌드' 보고서에서 "무력 충돌이 세계 무역 및 경제 갈등으로 이어지면서 중앙은행의 순매수 추세가 강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특히 지난해 4분기 금 수요가 회복되고 확대된 것을 통해 이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커진 무역분쟁 우려가 금 가격을 더욱 자극할 것이라고 봤다.
그는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수입 물가 상승 우려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무역분쟁 불확실성은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를 자극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 투자 방법 다양…성향과 필요에 맞게 살펴야

금은 투자 방법이 다양하게 나뉜다.


먼저, 금은방이나 한국금거래소, 은행을 찾아 현물 금을 구입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현물 금 형태인 골드바는 10g, 100g, 1㎏ 등 여러 단위로 판매한다.
단 골드바 매입엔 부가가치세 10%와 거래수수료 3~5%가 따른다.
처음부터 15%의 손실을 떠안고 투자하는 셈이다.


가장 간편하게는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증권사 앱을 통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어 편리하다.
퇴직연금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어 노후를 위한 재원 마련에 유리하다.
하지만 일반 계좌를 통해 거래할 시 매매 차익에서 15.4%의 배당소득세를 공제해야 한다.


은행에서는 실물을 보관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고객을 위해 금 통장도 개설해준다.
금 통장이 있으면 0.01g의 아주 작은 단위부터 투자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또한 금 시세 변동에 따라 잔액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통장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단점은 매매 차익이 생겼을 때 15.4%의 배당소득세가 붙는다는 점이다.


주식처럼 금을 사고팔 수도 있다.
증권사에 금 거래용 계좌를 개설해 한국거래소(KRX) 금 시장을 통하면 된다.
매매 단위는 1g이며, 거래할 때마다 온라인 매매 수수료가 0.3% 수준으로 부과된다.
실물로 찾을 때 부가가치세 10%를 내야 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