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S&P, 韓 신용등급 AA 유지…“2028년 1인당 GDP 4만불”

“한국 기관들, 계엄 불안정성 신속히 대처
관세 전쟁 영향받겠지만…GDP 회복세로”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종전과 같은 ‘AA’로 유지했다.
미국발 관세 전쟁 등은 악재로 작용하겠지만, 계엄 등 국내 정치 불안정은 정책기관들의 빠른 대응으로 경제·금융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평가를 했다.

15일 S&P는 보고서를 내고 우리나라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AA로, 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으로 종전과 같이 유지했다고 밝혔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한 적 있다.


사진=S&P 웹사이트 캡처
S&P는 총평에서 “(한국 경제는) 국제 교역 여건 악화에 영향을 받겠지만, 그럼에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향후 3∼5년 동안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보다 높은 평균 성장률을 유지하고 정부 재정 적자 규모도 향후 3년간 완만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S&P는 GDP 성장률이 국제 교역 여건 악화로 올해 1.2%로 둔화했다가 내년 2%까지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올해부터 2028년까지 GDP가 매년 약 2% 추세로 성장해 1인당 GDP는 2028년 4만1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올해 GDP 성장률을 2%로 예측했다 지난달 이를 1.2%로 하향한 바 있다.
이번 발표에서도 조정된 수치를 그대로 유지했다.


또한 S&P는 한국의 제도·정책적 환경이 국가신용을 뒷받침하는 중요 요소라고 강조했다.
비상계엄 선포로 정치적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다소 손상됐지만, 신속한 계엄령 철회와 정부 대응이 악영향을 완화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S&P는 “한국 기관들은 계엄령 선포와 이어진 급격한 상황 반전에도 잠재적 불안정성에 신속하게 대처해 왔다”며 “새로운 대통령 선출 이후 정책 환경은 대체로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다만 한국의 정치적 분열이 지속되면 차기 정부의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도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짚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