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주 매립지 바이오가스, 수소개질기 통해 '청정수소'로 변환
![]() |
현대자동차그룹은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수소 설루션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정의선 회장이 지난해 7월 인도네시아 카라왕 신산업단지 HLI그린파워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EV 생태계 완성 기념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여러 도시에서 '자원순환형 수소 설루션(W2H)'을 안착한 데 이어 인도네시아에도 도입하는 등 글로벌 단위 수소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그룹은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현지 정부·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추진하는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W2H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후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앞서 지난해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에서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W2H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역 내 수소 생산 거점 조성을 통해 수소 운반·저장 비용을 절감해 수소 자원 독립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여러 지역에서 W2H 모델을 전개하고 있는데, 이를 해외에 적용하는 셈이다.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실제 현대차그룹이 해외 지역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첫 실증 사업이다. 현대차그룹은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서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사리묵티 매립지는 반둥시에서 매일 발생하는 약 1500톤 폐기물 중 80%가 처리되는 곳이다. 최근 이상 기후가 지속되면서 자연재해가 빈번히 일어나는 지역이다. 현대차그룹은 매립지 개발 전문회사 세진지엔이 협력을 통해 사리묵티 매립지를 복토한다.
이후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복토를 마친 매립지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현대로템 수소 개질기를 이용해 청정 수소로 변환시킨다는 구상이다. 매립지 개발을 위한 기술 타당성 조사를 완료했다. 연내 관련 설비 착공을 목표로 자바주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유수 기관·기업과 구성한 컨소시엄을 통해 선진화된 수소 정책·안전 규정과 수소 생산·운영·충전 등에 관련된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페르타미나 홀딩스가 제공한 부지에 오는 2027년까지 수소 개질기 설치·수소 충전소 구축을 완료한다.
페르타미나 홀딩스 측과는 수소 운반·수소 모빌리티 활용 등 수소 밸류 체인 전 과정에 걸쳐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아동권리 전문 NGO 굿네이버스와 협력해 식수 지원·보건 환경 개선 등 매립지 인근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공헌활동도 전개한다.
현대차그룹은 수소 생산 허브를 마련하는 것을 넘어 쓰레기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가 수소 로드맵과 관련된 주요 사례 중 하나로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서 전개 중인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해외로 확장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라며 "수소 비즈니스 브랜드인 HTWO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기업과 협력해 수소 생산을 확대하고, 수소 사회를 가속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