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업계에 따르면 노 직무대행은 DX부문 구성원에게 이메일을 보내 “유연하고 민첩한 실행으로 변화를 주도하자”며 “기존 업무 방식을 재정비하고 효율적이고 민첩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
직무대행을 맡은 지 10일만에 나온 첫 메시지다.
![]() |
노 직무대행은 한 부회장이 2021년 12월 DX부문장 취임 당시 내건 슬로건 ‘원 삼성’(One Samsung)을 다시금 꺼내 들었다.
그는 “2021년 DX부문 출범 후 (원 삼성) 모토 아래 서로 기술과 경험을 융합해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해왔다.
제품·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기술적으로 정교하게 발전할 때 차별화된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며 “원 삼성을 모토로 사업부 간 유기적인 협력을 하자”고 강조했다.
노 직무대행이 민첩성과 유기적 협력을 거듭 강조한 것은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른 실적 침체에 대비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갤럭시 S25 시리즈의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를 웃돈 6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2분기부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저조한 성적표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시시각각 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 등에 기민하게 대처하고, 최근의 복합 위기 극복과 초격차 경쟁력을 회복하자는 게 노 직무대행의 주문이다.
노 직무대행은 또 “기술 발전 속도는 예상을 뛰어넘고, 변화의 흐름 속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라며 “인공지능(AI)과 로봇, 디지털 트윈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직무대행은 갤럭시 시리즈 개발을 주도하며 ‘갤럭시 신화’를 일군 스마트폰 전문가로, 지난달 25일 별세한 한 부회장의 뒤를 이어 DX부문을 이끌고 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과 품질혁신위원장도 겸임하고 있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