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금운용액 215.5조… 2024년보다 55조↑
가계 지출보다 소득 증가율 더 크게 늘고
아파트 신규 입주 축소로 주택 지출 줄어
총 운용자금 1년 새 71조 급증한 266조
주식·펀드 투자 ‘마이너스’서 48조로 ‘쑥’
경기 불확실성에 기업 순조달 65조 그쳐
정부는 법인세 등 감소에 38.9조로 확대
지난해 경기 둔화에 지출을 줄이면서 가계 여윳돈이 200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는 모은 돈을 증권·펀드 등 투자로 돌린 반면 자금 조달 주체인 기업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투자 등 지출을 줄였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액은 215조5000억원으로 2023년(150조5000억원)보다 55조원 늘었다.
순자금운용액은 예금·투자 등 자금운용액에서 대출 등 자금조달액을 뺀 값으로 여유자금을 뜻한다.
지난해 가계 순자금운용액은 2009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치다.
가계 여윳돈이 급증한 것은 지출보다 소득이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소득 증가율은 3.3%로 2023년(2.8%)보다 커진 반면 가계지출 증가율은 같은 기간 6.1%에서 3.2%로 줄었다.
여기에 서울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2023년 3만7000호에서 지난해 2만8000호로 줄어드는 등 주택 관련 지출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줬다.
![]() |
지난해 가계들이 운용한 자금의 총 규모는 266조1000억원으로 1년 전 194조8000억원보다 71조3000억원 급증했다.
특히 증권 등 투자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가계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액은 지난해 42조4000억원으로 전년(-6조1000억원)보다 48조5000억원 치솟았다.
채권은 37조9000억원으로 1년 새 23조7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은행 예금을 포함한 금융기관 예치금은 114조원으로 16조2000억원 줄었다.
대출 등 가계 자금조달액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년(34조3000억원) 대비 16조3000억원 늘어난 50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은 지난해 5468조9000억원으로 1년 새 264조8000억원 늘었다.
금융부채는 같은 기간 2370조1000억원으로 53조2000억원 증가했다.
이에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3098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11조6000억원 늘었다.
은행 등을 제외한 비금융 법인기업의 경우 작년 순조달 규모가 65조5000억원으로 전년(109조4000억원)보다 43조9000억원 축소됐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일반정부는 순자금조달 규모가 2023년 17조원에서 지난해 38조9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정부 총수입은 같은 기간 573조9000억원에서 594조5000억원으로 늘었고, 총지출은 610조7000억원에서 638조원으로 증가했다.
김 팀장은 “기업은 자금순환 면에서 주로 조달의 주체인데, 경기 불확실성으로 투자를 줄이고 공장도 덜 지었다는 의미”라며 “대미관계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에 기업들의 조달 규모가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도 작년 법인세 감소 등으로 지출이 수입보다 크게 증가하며 조달 규모가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