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관세 불확실성에 환율 1490원 위협… 금융위기 이후 최고

원·달러 환율이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1490원선을 위협하고 있다.
예상보다 강력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와 중국의 보복 조치에 글로벌 무역전쟁 위기가 고조되고 있어서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10.8원 오른 1484.0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장중 1487.3원까지 급등했다.
장중 기준으로 금융위기 때인 2019년 3월16일(1492.0원) 이후 최고 수준이다.

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로 정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면서 환율은 하루만에 32.9원이나 떨어졌다.
그러나 7일 트럼프 상호관세 방침에 중국 등 주요국들의 반발하면서 1460원대 후반으로 복귀한 후 8일에는 다시 1470원대로 레벨을 높였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직후 중국은 10일부터 미국산 상품에 대해 미국이 부과한 34%와 같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는 등 보복 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보복 관세 조치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위협했다.

미국 상호관세는 한국 시각으로 이날 오후 1시1분 정식 발효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제공
전날 오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관세 논의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미국 관세에 맞선 중국의 위안화 절하도 환율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인민은행은 전날 미국 상호관세 발동, 중동사태, 우크라이나 전쟁 등 내외 정세 동향, 경기추이, 금리차 등을 반영해 1달러당 7.2038위안으로 고시해 전날(7.1980위안)에 비해 위안화 가치를 더 낮췄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소폭 하락한 102.714수준이다.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20.07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98.98원보다 21.09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70엔 내린 145.56엔이다.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