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커피 언제 사왔어?” “배달”…이렇게 월평균 ‘○만원’ 썼다

앱 이용자 1인당 평균 3.7회, 9만7000원 결제
배달 시장, 코로나 이후 주춤…다시 성장세
스마트폰 보유자 절반 이상 배달앱 사용중
1인당 결제 횟수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
30대는 1인당 월평균 결제액 10만원 넘겨


국내 배달앱 이용자 1인당 월평균 결제 금액이 10만원에 육박한다는 조사 결과나 나왔다.

9일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만 20세 이상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결제한 금액을 표본 조사한 결과 지난달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땡겨요 등 배달앱에서 결제한 사람은 2351만명이다.

서울 시내에서 대기 중인 배달 기사 모습. 연합뉴스
1인당 평균 3.7회에 걸쳐 모두 9만7000원을 결제한 것으로 추정됐다.

배달앱 사용자 수는 40대가, 결제자 수와 결제 금액은 30대가 각각 가장 많다.
30대는 1인당 월평균 결제액이 10만원을 넘었다.
1인당 결제 횟수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4.4회)였다.

스마트폰 보유자 중 53%인 2701만명이 배달앱을 사용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에서 대기 중인 배달 기사 모습. 연합뉴스
배달 라이더들이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배민 이용자가 2238만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쿠팡이츠는 1100만명으로 배민을 추격했다.
쿠팡이츠 이용자는 지난해 3월 645만명에서 1년 만에 500만명 가까이 늘면서 1000만명을 훌쩍 넘겼다.
요기요는 이용자가 504만명으로 줄었고 땡겨요는 153만명으로 늘었다.

지난달 배달앱 결제 추정 금액은 2조2800억원으로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시기인 2022년 3월(2조3151억원) 이후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후 성장세가 둔화했던 배달 애플리케이션(배달앱) 시장이 다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 식당에 배달 플랫폼 로고 스티커가 붙어있다.
뉴시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쇼핑의 음식 서비스(음식 배달) 거래액은 36조9891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보다 14.3%나 성장한 수치다.

음식 배달 시장은 2020년~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두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외식 대신 음식을 배달하거나 포장하는 소비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음식 서비스 거래액은 2020년 전년 대비 78.1% 성장한 데 이어 2021년 65.3% 증가하며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넘어섰다.
2022년에도 전년보다 10.4% 늘어난 31조6369억원을 기록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