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TR·상무부 측과 회동 예정
알래스카 LNG 수입 카드 쓸 수도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관세조치에 대한 후속협상을 위해 8일 미국으로 출국했다.
정부는 상호관세뿐 아니라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품목 관세도 미국과 협의할 예정으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등 가용한 협상카드를 모두 열어놨다.
정 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면담하기 위해 이날 미국 워싱턴으로 향했다.
정 본부장은 이번 방미 때 USTR, 미국 상무부 측과 회동한다.
그는 출국하며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은 모두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이고, 철강·자동차 25% 관세는 반드시 협의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 |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
그는 “이번에 부과된 상호관세율을 보면 한국이 상대적으로 대미 무역수지 흑자 규모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라는 이유로밖에 설명이 안 된다”며 “우리가 이 부분에 대한 유감을 이미 표명했고, 한·미 FTA(자유무역협정)가 이행된 지 12년이 지난 국가에 이렇게 높은 관세율을 계산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를 미국 측에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래스카산 LNG 수입이 이번 협상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는지에 대해 정 본부장은 “한국은 세계에서 LNG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중 하나이고,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미국산을 늘리는 문제는 그동안 내부적으로 협의가 많이 됐다”고 협상카드로의 활용 가능성을 내비쳤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