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윤석열 파면]"환율, 단기 1430원 저점…추가 하락 시 1410원 도달 속도 주목"

4일 외환시장에선 당분간 정치 불확실성 제거에 따른 원화가치 상승분이 반영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원·달러 환율의 단기 저점은 1430원으로 봤다.
이후 추가 하락 시 1410원 선 도달 속도에 따라 하방 변동성이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 충격에 따른 글로벌 달러 약세가 반영되며 전일 주간 종가 대비 16.5원 하락한 1450.5원에 개장한 후 낙폭을 키워 오후 2시 현재 1430원 후반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시장은 탄핵 인용을 정치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1430원 선 하향 이탈 여부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 연구원은 "선고가 시장 예상보다 지연되는 동안 찬반 여론이 더 결집했으나 이는 시장 영향보다는 사회 문제로, 공권력에 의해 얼마나 잘 통제되는지의 문제"라고 말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 역시 "지지층 간 대립 등이 이어질 수는 있으나 이에 따른 외환시장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추가 하락 시 1410원 선까지 얼마나 빠르게 빠지는지가 향후 원·달러 환율의 움직임을 결정할 것이라고 봤다.
빠르게 빠지면 수출업체, 해외투자자 할 것 없이 '더 빠질 수 있다'는 심리적 부담감에 쥐고 있던 달러를 매도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하방 변동성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1400원 초반 선에서 횡보 장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국내 요인뿐 아니라 '트럼프 관세'를 앞세운 대외 요인 역시 환율 변동성을 키우는 핵심 요소다.
전문가들은 예상보다 높은 25% 상호관세 고지서를 받아든 상황에서, 앞으로 협상 전략을 어떻게 짜는지 여부가 외환시장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국가별 관세 적용 시기를 4월9일로 미뤘다는 점에서 협상 여지는 충분하다고 봤다.
민 연구원은 "중국은 트럼프 1기 때를 학습해 결국 원하는 것이 미국 투자라는 점을 고려, 자국 기업의 미국 투자 차단을 협상용으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도 협상 어떻게 풀어가냐가 상당히 중요할 것"이라고 짚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