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말 대비 4억5000만달러 증가했지만…4100억달러 '탈환' 실패
![]() |
우리나라 3월 외환보유액이 3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4100억달러 탈환에 실패했다. /더팩트 DB |
[더팩트 | 김태환 기자] 우리나라의 3월 외환보유액이 3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4100억달러 탈환은 무산됐다. 분기말 금융기관들의 외화예수금 증가와 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증가에도 국민연금 외환스와프 거래 등으로 달러가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트럼프 발 관세 전쟁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판결 전후로 원·달러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환율 방어에 외환보유액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져 심리적 지지선인 4000억달러도 붕괴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5년 3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6억6000만달러로 전월말(4092억1000만달러)보다 4억5000만달러 늘었다. 지난해 12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외환보유액이 4100억달러 아래로 내려갈 정도는 아니다"고 밝힌지 2개월 만에 4100억달러를 하회한 것이다.
외환보유액 증가는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증가와 미국 달러화 약세에 따른 타통화 외화자산의 미달러 환산액 증가를 비롯해 외화자산 운용수익 증가에도 외환당국의 변동성 완화조치에 따른 달러 매도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거래 등이 영향을 미쳤다.
외환당국은 지난해 12월 당시 500억 달러였던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650억 달러로 확대했다. 다만, 국민연금이 끌어다 쓸 경우 외환 보유액이 감소하지만 만기시 환원되며 외환보유액 감소는 일시에 그치게 된다.
외환보유액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국채 및 정부 기관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615억3000만달러로 전월(3573억8000만달러)보다 41억5000만달러 늘었다. 반면 예치금은 241억7000만달러로 38억4000만달러 감소했다.
SDR(특별인출권)은 149억8000만달러로 전월(148억4000만달러)보다 1억4000만달러 늘었고, IMF포지션은 41억9000만달러로 전월과 같았다. 금 역시 47억9000만달러로 직전월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 감소에 대한 우려도 높아졌다. 최근 환율은 미국의 관세 폭풍에 따른 국내 경기 타격과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후 정국 불안 우려에 금융위기 수준인 1470원대를 넘나든다. 지난달 31일 종가는 1474.0원으로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시장에서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한꺼번에 쏠리며 일시적으로 환율이 1500원대를 터치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주요국과의 순위를 비교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2월 말 기준 4092억달러로 9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3년 6월 홍콩을 누르고 10개월 만에 8위를 탈환했지만 2개월 만에 다시 홍콩에 밀렸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