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KTX 개통 21년…누적 11억명 돌파, 매일 24만명 타는 '국민열차'

고속열차 KTX가 1일 개통 21주년을 맞았다.
2004년 첫 운행 이후 지금까지 11억4000만명이 탔다.
국민 1인당 23번씩 이용한 셈이다.
현재는 하루 평균 24만6000명(올해 기준)이 KTX를 타고 전국을 오간다.


코레일은 이날 "세계 다섯 번째로 개통한 KTX가 21년간 우리나라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며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


KTX는 우리나라 간선철도망 최고속도를 시속 150㎞에서 300㎞로 두 배 끌어 올렸다.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든 결정적 전환점이었다.


KTX는 21년간 총 6억9000만㎞를 달렸다.
지구 둘레(4만㎞)를 1만7000바퀴 도는 거리다.
이용객 이동 거리(연인거리)를 합치면 2800억㎞로,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1880배에 달한다.



이용객 수도 꾸준히 늘었다.
개통 첫해 하루 7만2000명이던 평균 탑승객은 올해 24만6000명으로 3.4배 증가했다.
하루 운행 횟수는 같은 기간 142회에서 385회로 2.7배 늘었다.
올해 가장 많은 이용객을 기록한 날은 3.1절 연휴 전날인 2월 28일로 33만명이 KTX를 탔다.


정차역은 초기 20곳에서 현재 77곳으로, 노선은 2개(경부선·호남선)에서 8개로 확대됐다.
지난해 중부내륙선과 중앙선이 연장되면서 두 노선 이용객 수는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구간별로 보면 서울~부산 53%, 서울~광주 44%, 서울~울산 62%가 KTX를 이용한다.



차량도 진화했다.
KTX-1에서 시작해 ▲KTX-산천(동력집중식·기관차 2칸·객차 8칸) ▲KTX-이음(동력분산식·총 6칸) ▲KTX-청룡(동력분산식·총 8칸)까지 투입됐다.
최대 시속 320㎞로 달릴 수 있는 KTX-청룡은 기존(KTX-산천) 대비 좌석 수가 36%, 무릎 간격 19%, 통로 폭이 34% 넓어졌다.
코레일은 노후 차량을 대체할 차세대 고속열차에 인공지능(AI) 기반 유지보수, 탈선 감지 시 자동 비상제동 시스템 등을 적용할 계획이다.


외국인 수요도 크게 늘었다.
외국인 철도 이용객은 지난해 554만명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방한 외국인 3명 중 1명이 KTX를 이용한 셈이다.
코레일은 외국인 전용 창구, 다국어 홈페이지, 좌석 선택 기능 등을 운영 중이다.


차성열 코레일 여객사업본부장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신 국민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