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이 1·2종 철도시설물 정밀안전진단과 성능평가 용역에 본격 착수했다고 28일 밝혔다.
1종은 고속·일반철도 교량, 터널 등을 말하고 2종은 100m 이상 교량과 광역시 소재 터널 등을 일컫는다.
올해 진단·평가 대상은 시설물안전법에 따라 점검 기한이 도래한 교량 183개소, 터널 80개소, 옹벽 21개소, 사면 1개소 등 총 285개소다.
약 457억원을 투입해 연말까지 용역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점검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 장비를 활용한다.
3D 라이다(Lidar)와 드론, 강구조물 계측시스템 등을 활용한 고품질 정밀안전진단과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하천을 통과하는 교량에 대해서는 기초부 수중 조사를 실시해 구조 결함을 면밀히 점검하고 극한호우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다.
이성해 공단 이사장은 "이번 정밀안전진단과 성능평가를 통해 보수 보강이 필요한 시설물은 신속히 개선해 철도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겠다"며 "시설물관리자로서 안전한 철도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공단은 지난해 정밀안전진단과 성능평가 용역 추진 시 기술력 중심 입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술인평가(SOQ) 비중을 확대하고 국토안전관리원 맞춤형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는 등 제도를 개선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