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신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력망 실시간 통합관제를 위한 그간의 진행성과와 계획, 추가적인 개선 필요사항에 대해 관계기관·전력계통 분야 전문가들과 논의를 진행했다.
기상 상황에 따른 발전량 변화가 큰 비중앙발전기 설비용량은 지난 10년간 5배 이상 증가한 33.8기가와트(GW)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사업용 발전기의 22.3%를 차지하는 규모다.
비중앙발전기는 전력망 운영자가 실시간 전력망 운영 상황에 따라 필요시 공급을 조정하며, 경부하기 대응상황 발생 등 전력망 운용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비중앙 발전기들의 발전량 실시간 파악·제어에 대한 정보통합 운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당국은 지난해 부터 전력망운영자들의 정보시스템을 실시간으로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지난 2월까지 정보연계를 위한 데이터기준, 시점 등을 결정하고 실제로 시험운영을 통한 보완 과정 등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시스템 운영 안정화 등을 거쳐 6월에는 본격적인 정보 통합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전력계통 불안정 우려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협조 운영을 위해서는 각 기관별 시스템을 연계,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증가하는 재생에너지가 우리 전력망에 성공적으로 연계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제어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김유진 기자 ujeans@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