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연체율 ↑…경기부진 속 채무 부담 가중
취약 소상공인 늘어…“재정 지원 등 검토해야”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뉴스1 자료사진 |
이는 코로나19 이전 장기 평균 수준(2012~2019년 평균 1.68%)에 근접한 수치다.
특히 비은행권 대출(3.43%)과 취약 자영업자(11.16%)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높게 나타나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한은은 대출 연체율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높은 대출금리와 서비스업 경기 부진에 따른 소득 감소를 꼽았다.
2021~2022년에는 정부의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 원리금 상환 유예 정책과 팬데믹 이후 빠른 서비스업 회복 덕분에 연체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최근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자영업자의 채무 상환 능력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자영업자의 평균 소득은 2022년 말 4131만원에서 지난해 말 4157만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수준(4242만원)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연체 중인 자영업자의 평균 소득은 2020년 말 3983만원에서 지난해 말 3736만원으로 감소한 반면, 평균 대출 규모는 2억500만원에서 2억2900만원으로 증가했다.
실제 서울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40대 A씨는 경기 침체로 인해 매출이 급감하면서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는 3년 전 사업 확장을 위해 5000만원을 대출받았으나, 경기 불황과 코로나19의 여파로 고객 수가 줄면서 매출이 ‘반토막’ 났다.
현재 매출은 이전 대비 약 30% 감소한 상태이며, 대출 연체가 3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A씨는 “대출을 받을 당시만 해도 매출 전망이 밝았지만, 지금은 빚을 갚기 위해 추가 대출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 |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
같은 기간 다중 채무 자영업자가 2만2000명 감소한 반면, 저소득(2만1000명)·저신용(4만7000명) 차주는 각각 증가하면서 취약 자영업자는 3만1000명 늘었다.
전문가들은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경우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금융권과 정부가 협력해 대출 구조조정, 금리 인하, 금융 지원 대책 등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