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방 격차 1년새 1%→1.6%P↑
취약 자영업자 차주, 전체 13.7% 달해
한은 “금융기관 건전성 흔들 뇌관 우려”
한국은행이 최근 국내 금융시스템이 대체로 안정적임에도 취약계층의 상황은 여전히 나빠지고 있다고 짚었다.
부동산 시장과 자영업자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시장 건전성을 흔들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청과물시장의 한 상점을 찾은 시민이 과일을 구매하고 있다. 연합뉴스 |
2023년(3.5%)에 비하면 소폭 하락했지만 장기평균(3.1%)을 상회했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조원으로 집계됐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초과해 상환 부담이 크고 자산을 매각해도 부채 상환이 어려운 가구를 뜻한다.
이런 가운데 가계 자산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가격이 지방을 중심으로 하락하면서 상환능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한은은 지방 및 수도권 고위험가구 비중이 지난해 말 각각 5.4%, 4.3%에서 올해 말 5.6%, 4%로 격차가 벌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양극화는 자영업자 사이에서도 두드러졌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저소득(하위 30%)인 취약 자영업자 차주는 작년 말 기준 42만7000명으로 1년 사이 3만1000명 늘었다.
이 같은 취약차주는 전체 자영업자 중 13.7%를 차지했다.
연체 차주가 2022년 하반기 이후 증가하면서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도 코로나19 이전의 장기평균 수준(2012∼2019년 평균 1.68%)에 근접한 1.67%까지 상승했다.
특히 취약 자영업자 차주 연체율이 11.16%에 달했고, 이들 비중이 높은 비은행(3.43%)도 연체율이 높았다.
한은은 “금융기관 복원력과 대외지급능력을 기반으로 전체적인 금융 상황은 안정세”라면서도 “취약 부문의 부실이 늘면서 금융기관 건전성 저하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