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인수 좌초 위기 보험사 가입자들 “내 보험 어쩌나”

속 타는 고객들, 청원 등 단체행동까지
MG손해 사상 초유 청산·파산사태 우려
계약 해지 봇물… “도와달라” 국민청원도
최대 5000만원 보장… 해약은 신중해야
당국 “공개매각 난망… 계약이전 등 검토”
우리금융 ‘입질’ 동양·ABL 고객들도 불안
“MG와는 달라 계약 섣불리 깨지 말아야”


보험사 인수합병(M&A)이 줄줄이 난항을 겪으며 보험가입자들의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차례나 매각이 무산된 MG손해보험은 청산·파산 가능성이 제기되며 가입자들이 보험상품을 줄줄이 해지하고 국민청원 등 단체행동에 나섰다.
우리금융지주가 최근 금융감독원 경영실태평가에서 3등급을 받자 인수를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 가입자들도 불안해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2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MG손해보험 사태 고객 피해에 관한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메리츠화재의 인수 무산으로 인해 125만명의 보험가입자가 큰 피해를 입을 위기에 처했으며,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보험사 청산, 파산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피해자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적극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MG손보 가입자들은 오픈채팅방도 열어 정보를 공유하며 집단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MG손보 관계자는 “고객들이 불안해하시는 심정은 이해한다”면서 “현재 적립금이 4조원이고 유동성도 2000억원대로, 정상 영업을 하고 있으며 해지 요청에 따른 해지환급금도 바로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MG손보 보험계약자(개인·법인)는 총 124만4155명이다.
이들은 예금자보호법상 최대 5000만원까지 보장받을 수 있지만 5000만원 초과 계약자가 1만1470명(개인 2358명, 법인 9112곳), 계약 규모는 총 1756억원에 이른다.

다만, 파산 시 절차에 따라 일부 파산 배당을 받을 가능성은 있다.
예금보험공사 관계자는 “통상 파산절차에 들어가면 5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법원에 파산채권으로 신고한 후 배당받을 수 있다”면서 “(매각회사) 자산을 현금화한 다음 배당해주기 때문에 다소 시간은 걸린다”고 설명했다.

해지 요청이 많은 상품은 대체로 가입규모가 큰 저축성 보험이지만, 급한 마음에 보장성 보험을 해지하는 경우도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저축성 보험은 해지환급금이 5000만원이 넘는 경우 해지하는 게 나을 수 있지만, 보장성 보험은 오랫동안 납입하고 보장 기간이 많이 남아 있는 경우 해지 환급금보다는 보장을 오래 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래전 1·2세대 실손·암·건강 등 각종 보장성 보험에 가입한 경우 MG손보가 청산되면 비슷한 보장의 상품에 재가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MG손보 처리에 대한 관계 당국의 결정이 늦어질수록 처리 비용과 고객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과 예보는 아직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지난 25일 “제3자 인수나 자체 정상화가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다른 옵션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예보 관계자도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공개매각은 어려울 것 같다”면서 “계약이전은 과거 사례도 있고, 검토는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산은 보험계약을 소멸시키는 것이지만, 계약이전은 다른 보험사에 보험계약을 넘겨 보장을 그대로 유지해주는 것이다.

우리금융이 인수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 가입자들도 불안해하기는 마찬가지다.
ABL생명에 오래전에 가입한 60대 A씨는 “우리금융에서 인수를 못할 수 있다고 하고 중국계 보험사라고 하니 불안하다”면서 “주변에서 얼른 해지하라고 해서 고민”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동양·ABL생명은 MG손보 사례와는 다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동양·ABL생명은 인수가 무산되도 MG손보처럼 청산·파산으로 갈 가능성이 현재로선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금융당국이 우리금융의 인수를 조건부 승인할 가능성도 남아 있어 섣불리 보험을 해지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M&A 시장의 최대어로 꼽혔던 롯데손해보험과 KDB생명 등 보험사 M&A가 잇따라 실패하면서 보험계약자들의 피해와 보험업권 전반의 신뢰 하락으로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