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국제업무지구 복합개발 사업이 첫발을 뗀다.
복합개발 예정인 20개 필지 중 '제1호 필지'를 한국전력공사에 공급한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에 원활한 전력공급을 위해 제1호 필지를 한전에 공급, 복합개발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는 최고 100층 랜드마크를 비롯해 대규모 업무시설 도입이 예정됐다.
때문에 2031년 이후에는 현재 운영 중인 154kV(킬로볼트) 규모의 특고압 변전소 1개소 외 동일한 규모의 변전소 1개소에 대한 추가 신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시는 주요 도로망에 근접하면서 주거지와 떨어져 전력망 설치가 용이한 필지를 전력공급부지로 한전에 공급하기로 했다.
특고압 변전소 2개소를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에는 업무시설 등을 도입·개발한다.
올해 안에 한전에서 복합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해 도시개발사업을 가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용산변전소(154kV, 1개소) 부지는 우선 도시개발구역 내 편입해 구역 지정을 했다.
신규 전력공급부지에 변전소 2개소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부지는 도로·공원 등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협력을 위해 시와 한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이날 오후 2시 '용산국제업무지구 전력공급부지 복합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전력공급계획, 현재 용산변전소 부지의 보상, 향후 전력공급부지 제공, 부지 복합개발 방향 등에 협력한다.
복합개발 제1호 필지가 포함된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올해 상반기 사업시행자가 용산구에 실시계획 인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각종 행정절차 후 오는 10월 실시계획 인가 완료를 예상하고 있다.
이후 기반시설 착공 및 필지 분양을 추진하며 신규 변전소 전력공급은 2031년부터 시행 예정이다.
신규 변전소 가동 전까지 현재 운영 중인 용산변전소에서 전력공급을 맡는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올해 말 도로, 공원 등 부지조성 작업 착공을 시작으로 분양받은 민간 등이 건축물을 짓기 시작하면 2030년대 초부터 기업과 주민이 입주할 수 있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건축물 용도와 밀도 규제가 없는 화이트존인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공간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용산공원을 잇는 입체보행녹지 '용산게이트웨이'와 중심공간인 공중공원 그린스퀘어에는 공연장, 전시관, 도서관 등을 연계한 복합문화공간과 야외공연장도 조성한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모든 필지의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해 용산국제업무지구가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성공적으로 발돋움하도록 개발 전략을 수립했다.
지난해 11월 49.5만㎡ 규모의 용산정비창 일대를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해 고시한 바 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토지보상 및 기반시설 부지공급·부지 복합개발 계획을 병행 추진해 기반시설을 조속히 착공하겠다"라며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전력 신기술 도입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을 극대화해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 선도모델로 육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