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현대제철, 미국서 전기로 제철소 건설한다… 8조 5000억원 규모 투자

현대제철이 미국에 자동차강판 특화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전날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발표한 대미 투자 계획의 일부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대미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현대제철은 25일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며 “투자 규모는 58억달러(8조5127억원)”라고 밝혔다.

신규 제철소는 전기로를 채택한 일관제철소(원료부터 제품까지 공정을 갖춘 곳)로 지어진다.

전통적인 고로 대비 탄소 배출량은 줄이면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현대제철은 70년 이상의 전기로 운영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전기로 기반으로 자동차 강판 100만톤을 생산했다.

2022년 10월 세계 최초로 전기로를 통한 1.0기가파스칼(㎬)급 탄소저감 고급판재시험 생산도 성공했다.

생산능력은 연 270만t이 될 예정이다.

자동차강판 특화 제철소로 직접환원철을 생산하는 원료 생산 설비와 전기로, 열연 및 냉연강판 생산 설비로 구성된다.

제철소가 설립되는 장소는 루이지애나주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 그리고 신규로 가동되는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와 인접해 물류비 절감과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또 미국 철강시장은 견고한 철강 수요와 높은 가격, 미래 성장성 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지역이다.

국내 대비 천연가스·전력 등의 에너지 비용이 낮고 물류비 절감도 가능해 원가경쟁력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기아는 물론 미국 완성차 업체의 전략 차종에 들어가는 강판을 주력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후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과 유럽 완성체 업체 공략에도 속도를 낸다.

한국에서는 당진제철소와 순천공장 등이 자동차 강판 생산거점 역할을 했다.

투자 재원은 현대차그룹과 공동 투자를 협의 중이며, 전략적 파트너사와의 지분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글로벌 생산거점을 구축해 미래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지속 성장이 가능한 철강사의 방향성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