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박하고 거칠었던 소리들을 모으는 과정이었는데 민요의 본질을 찾는 계기가 돼 굉장히 보람 있었다.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유지숙 예술감독은 10~11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이는 정기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의 의미를 이같이 설명했다.
'다시 그리는 노래' 무대에서는 과거에 널리 불렸지만 오늘날에는 잊혀가고 있는 통속민요 26곡을 들려준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은 일제 강점기에 발매된 음원과 과거 현장 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추천과 감수를 거쳐 지역별 대표 민요 26곡을 엄선했다.
유지숙 예술감독은 공연을 하루 앞둔 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며 노래를 찾았다"며 "일제 강점기 시대 때 노래들과 그 이후에 나왔던 노래들, 1960년대 이후에 불렸던 노래들로 꾸며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음악적인 완성도, 세련됨 등을 추구하면서 그때 그 노래에 담겨있던 감정이나 정서적인 면들을 잊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그러한 본래의 것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연주단원 50여명이 출연해 꾸미는 이번 공연은 전체 5막으로 구성된다.
가장 먼저 발탈꾼 정준태 씨가 무대 중앙에 등장해 탈을 이용한 재담으로 분위기를 띄운다.
정준태 씨가 관객들과 인사를 나누고 팔도 유람을 떠나보자며 무대 한쪽에 자리 잡고 앉으면 본격적인 공연이 시작된다.
정준태 씨는 막이 끝날 때마다 발탈과 재담으로 흥을 돋운다.
국가무형유산인 발탈은 발에 탈을 씌우고 여러 동작을 연출하는 민속연희다.
1막은 '기억 속의 소리,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라는 주제로 경기소리를 들을 수 있고, 2막에서는 '사랑과 기다림, 자연 속의 노래'라는 주제로 서도소리를 감상할 수 있다.
3막 '봄과 꽃이 피어나는 생의 순간'에서는 남도소리를 즐길 수 있으며, '신명의 장, 모두가 하나 되는 순간' 이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4막에서는 경기와 서도민요가 한바탕 어우러지는 무대를 볼 수 있다.
특히 4막에서는 풍물패가 등장해 각설이패의 민요인 장타령을 부르는 민속악단 단원들과 함께 신명 나는 판을 보여준다.
장타령은 장사꾼들이 장터에서 물건을 팔거나 연회 때 부르던 민요로 다양한 언어유희로 객석에 웃음을 안겨준다.
이어 강원도 소리로 꾸며지는 마지막 5막 '산과 바람을 담은 노래'로 공연이 마무리된다.
유지숙 예술감독은 빛바랜 민요들에 다시금 숨을 불어 넣는 작업을 계속하겠다며 소개하고 싶은 곡들이 아직 많이 남았다고 했다.
유 감독은 ""추억 같은 우리 민요들이 사라지는 것이 너무 안타깝고 이를 복원해 레퍼토리의 다양함을 꾀하고 싶다"며 "주옥같은 우리 민요를 다듬고 매만져서 무대에서 소개하는 것이 우리 민속악단이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에 정말 많은 곡을 모아서 무대에서 선보이지만 아직도 많은 곡이 있다"며 "기회가 되면 이런 곡들을 다 살려내고 싶다"고 덧붙였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