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문화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안동 전통가옥 피해 잇따라…국가유산 피해 23건

 27일 경북 지역에서 6일째 번지고 있는 산불의 최초 발화 지점인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묘소 인근에 폴리스라인이 설치된 가운데 주변 산림이 폐허가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7일 경북 지역에서 6일째 번지고 있는 산불의 최초 발화 지점인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묘소 인근에 폴리스라인이 설치된 가운데 주변 산림이 폐허가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산불의 불씨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가운데 국가유산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27일 18시 기준으로 국가유산 피해가 총 23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21일부터 이날까지 집계된 것으로, 전날 대비 8건 늘었다.
 
국가지정 11건, 시도지정 12건이 피해를 입었다.
 
 
안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지어진 전통가옥들의 피해가 컸다.
 조선 후기 서당인 지산서당을 비롯해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국탄댁,  조선 중기 세워진 송석재사, 조선 중기 전통가옥 지촌종택 등이 전소됐다.
조선후기에 건립된 구암정사는 협문이 전소되는 등 일부 소실됐다.
 
조선 중기에 건립된 용담사 무량전은 부속건물 1채와 금정암 화엄강당이 전소됐다.
통일신라 시대의 석불인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다.
1700년대에 건립된 국가지정 민속문화유산인 사남고택은 완전히 불에 탔다.
 
천연기념물 '영양 답곡리 만지송'은 현장 조사 결과, 나무 밑동과 가지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관련 현장에 750여명을 투입하고 긴급조치를 계속해서 실시하고 있다.
문화·자연유산 보호를 위한 '긴급 보호조치 시행 권고'를 선조치, 후승인으로 실시, 조치 속도를 높였다.
주요 사찰 및 종가의 소장 유물 1566점을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시켰고, 소산 불가능한 유산의 경우 보호를 위한 방염포를 설치했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위험으로부터 국가유산 보호를 위해 예방 살수, 방염포 설치, 방화선 구축, 유물 긴급 이송 등 긴급조치를 지속해서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주경제=윤주혜 기자 jujusun@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