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네시아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한다.
인도네시아 내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자간 협력을 구체화했다.

현대차그룹은 15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인도네시아 정부와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추진 중인 '인도네시아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이 해외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첫 실증 사업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소비자 전자제품 전시회(CES)'에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W2H'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음식물 쓰레기나 하수 슬러지, 가축 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탄을 정제, 바이오가스를 만든 후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지역 내 생산 거점 조성을 통해 운반 및 저장 과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우선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서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사리묵티 매립지는 반둥시에서 매일 발생하는 약 1500t의 폐기물 중 80%가 처리하는 곳으로,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가 지속됨에 따라 대형 화재, 홍수, 산사태 등 자연 재해가 빈번히 일어나는 지역이다.
현대차그룹은 매립지 개발 전문회사 세진지엔이와 사리묵티 매립지를 복토해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복토를 마친 매립지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현대로템의 수소 개질기를 이용해 청정 수소로 변환시킨다는 구상이다.
현재 매립지 개발을 위한 기술 타당성 조사를 완료했으며 연내 관련 설비 착공을 목표로 서부 자바주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향후 제아이엔지,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 수소 생산과 운영, 충전 등 관련 기술을 적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페르타미나 홀딩스가 제공한 부지에 2027년까지 수소 개질기 설치 및 수소 충전소 구축을 완료하고,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수소 운반 및 수소 모빌리티 활용 등 수소 가치 사슬 전 과정에 걸쳐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수소 생산 허브 마련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쓰레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어, 인도네시아 국가 수소 로드맵과 관련된 주요 사례로 언급되며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을 받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전개 중인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해외로 확장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수소 비즈니스 브랜드인 '에이치투(HTWO)'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하여 수소 생산을 확대하고, 수소 사회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에서 진행 중인 수소 생산 실증 사업 ▲청주시 공공하수처리장의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청정 수소 생산 시설 구축 사업 ▲파주시 및 고등기술연구원과 함께 추진 중인 미니 수소도시 조성을 위한 자원순환 사업 등 국내에서 W2H 모델을 구현하고 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