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더 높게 받는 '이중가격제'를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이미 오프라인 매장 규모가 크고 배달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버거 프랜차이즈들은 제도 도입을 대부분 완료한 상태다.
배달 비중이 압도적인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눈치를 보고 있지만, 이중가격제 도입이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높은 배달 수수료 때문에 이중가격제를 도입을 원하는 가맹점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배달 수수료를 결국 음식 가격에 전가해 소비자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자담치킨은 지난 3일부터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 3사에서 판매하는 치킨 가격을 2000원씩 올리기로 했다.
후라이드치킨은 2만1000원에서 2만3000원으로, 양념치킨·맵슐랭치킨은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순살 메뉴인 맵슐랭순살치킨은 2만5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치킨 업계에선 지금까지 일부 가맹점주들이 자체적으로 배달 시 웃돈을 붙인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본사 차원에서 이중가격제를 공식화한 것은 자담치킨이 처음이다.
최근 맘스터치는 가맹점 48곳이 자체적으로 배달 메뉴 가격을 평균 15% 인상했으며, 국내 4위 치킨 브랜드 굽네치킨의 일부 가맹점도 대표 메뉴인 '고추바사삭' 등 배달앱 가격을 최대 3000원까지 인상했다.
치킨 프랜차이즈는 오프라인 매장 운영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배달 비중이 70~80%로 높아 수요가 줄어들 경우 매출에 타격이 크기 때문에 이중가격제 도입에 신중히 접근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치킨 업계 톱3인 교촌·bhc·BBQ는 이중가격제 도입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치킨은 대부분 소비자들이 배달로 먹는 음식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이 소비자 반감으로 곧장 연결될 수 있다"며 "가맹점들의 요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어 고민은 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이중가격제를 검토하고 있진 않다"고 설명했다.
치킨과 달리 버거 프랜차이즈는 이미 대부분 이중가격제 도입을 마쳤다.
롯데리아, 버거킹, 맥도날드, KFC, 파파이스까지 모두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이 비싸다.
대형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해 비용 부담이 크고 배달 비중이 적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써브웨이, 본죽, 한솥도시락 등이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이중가격제가 확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 때문이다.
배달앱을 통한 주문이 증가하면서 매출 자체는 늘었지만, 높은 수수료로 인해 가맹점의 마진이 줄어드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로 배달 플랫폼사의 상생요금제를 보면 기존 9.8%로 통일했던 배달앱 중개 수수료를 매출 상위 35% 이내는 7.8%, 상위 35% 초과∼80%는 6.8%, 80% 초과∼100%는 2.0%로 차등 적용했다.
이 때문에 상위 35%까지는 1900~2900원 수준이었던 배달비가 현재보다 500원 인상된다.
매출 상위 35% 업주는 주문금액이 2만5000원을 넘어야 수수료와 배달비를 합친 전체 배달 영업 부담이 지금보다 줄게 되는 것이다.
실제 외식업자들도 원재료나 인건비보다 배달비 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외식업 점주 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사업 운영에서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배달비 수수료'를 꼽았다.
외식업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배달 플랫폼이 무료 배달을 시행하면서 그 비용을 가맹점에 돌릴 뿐 아니라 각종 추가 광고를 유도해 주문 가격의 30~40%가 배달 앱으로 빠져나간다"며 "남는 게 없어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더 버티기 어려운 단계가 됐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외식업계 전반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이 더욱 확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가맹본부는 가맹점들의 이중가격제 도입을 막을 수는 없다.
현행 가맹거래법상 가맹본부는 가맹점의 개별 가격 정책을 규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정당한 이유 없이 가맹점의 상품이나 용역 가격을 강제하거나 부당하게 구속하는 행위는 '부당한 구속행위'로 간주된다.
다만, 일각에선 업체들이 부담하는 배달료에 비해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가격 인상이 너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달앱 수수료를 결국 소비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다.
이중가격제가 물가 상승을 견인한다는 우려도 꾸준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한솥이 이중가격제를 도입한 후 11월 도시락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11.1% 급등했다.
외식 물가도 계속 오름세다.
올해 3월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한예주 기자 dpwngk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