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엔비디아, 인텔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1위…삼성전자 2위, 하이닉스 4위

엔비디아가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공급사 매출 1위에 오르며 인텔과 삼성전자를 제쳤다.
인공지능(AI)용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 수요가 급증하면서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삼성전자는 인텔을 앞지르며 2위 자리를 지켰다.
반도체 업황 반등에 힘입어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사업에서 성과를 거뒀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력에 기반해 4위로 도약했다.


11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반도체 매출은 6559억달러로, 전년 대비 21.0% 증가했다.
이는 연초 예비치보다 약 300억달러 늘어난 수치다.
매출 급증에 따라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순위에도 변화가 생겼다.


당초 1위 탈환이 예상됐던 삼성전자는 최종 집계에서 엔비디아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삼성전자의 작년 반도체 매출은 657억달러로, 전년보다 60.8% 증가했다.
공급 과잉 해소에 따라 메모리 가격이 반등했고, 서버 및 모바일 수요 회복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SK하이닉스는 전년 대비 91.5% 증가한 442억달러를 기록했다.
성장률은 상위 10개 업체 가운데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확대되면서 인공지능 연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와의 동반 수혜가 실적으로 이어졌다.


반면 인텔은 498억달러로, 3위로 밀렸다.
매출 증가율은 0.8%에 그쳤다.
팻 겔싱어 최고경영자 퇴진 등 경영 불안과 공장 투자 축소가 이어지고 있으며, 인공지능 수요 확산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된 모습이다.


이번 조사에는 위탁 생산(파운드리) 중심의 대만 TSMC는 제외됐다.
TSMC는 별도 공시에 따라 지난해 88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포함하면 실질적인 반도체 매출 1위는 TSMC다.


가트너는 "상위 기업들의 순위 변동은 인공지능 인프라 수요와 함께 메모리 시장의 회복이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