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360억원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LS일렉트릭은 최근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 지역에 총 사업비 37억엔(한화 약 360억원) 규모 전력변환장치(PCS) 20MW(메가와트), 배터리 90MWh(메가와트시)급 계통연계 ESS 발전소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업 기간은 오는 2027년 4월까지다.
이 사업은 와타리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토호쿠전력의 송전망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 기업이 일본에서 수주한 계통연계형 ESS 사업 중 최대 규모다.
LS일렉트릭은 현지 건설사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설계·조달·시공(EPC) 및 통합운영(O&M) 등 실질적인 ESS 구축과 운영을 맡는다.

LS일렉트릭은 2022년 홋카이도와 규슈 지역에 일본 최초의 계통연계형 ESS 발전소를 구축했으며, 지난해 도쿄도의 ESS 보조금 지원 사업에 외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선정됐다.
LS일렉트릭은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일본 ESS 시장 공략에 한층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일본은 개정 전기사업법을 통해 계통연계 ESS를 발전소 중 하나로 공식 인정했다.
향후 일본 내 계통연계 ESS의 상용 운전 프로젝트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만큼 LS일렉트릭의 추가 수주 기대도 커졌다.
일본 정부는 발전량 기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0년의 19.8%에서 2030년까지 36∼38%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재 일본 계통연계 ESS 전력판매 규모는 9000kWh로 유럽(140만kWh), 북미(223만kWh), 중국(180만kWh)에 비해 적은 수준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필수인 ESS 보급 확대를 위한 설치비용도 보조하고 있다.
ESS는 최대 50%까지, 수전장치는 최대 75% 설치비용을 보조해 주고 있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일본은 글로벌 최대 ESS 시장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며 "향후 태양광 발전소 직접 운영 등 시장 전략을 다변화해 스마트에너지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