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고령운전자, 돌발상황 브레이크 반응 비고령자보다 늦어"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고령운전자로 인한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사고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10일 밝혔다.


소비자원이 고령·비고령운전자 34명(각 17명)에 대해 시내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령운전자는 비고령 운전자에 비해 반응속도가 최대 1초 이상 늦어 사고 유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돌발상황 발생 후 브레이크를 작동하기까지 반응시간 등을 보면 선행차량 급정거 상황에서 고령자(3.56초)가 비고령자(3.09초)보다 0.47초 늦게 반응했다.
또 불법주차 차량으로 인해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갑자기 튀어나와 횡단하는 상황에서는 고령자(2.28초)가 비고령자(1.20초)보다 1.08초 늦게 반응해 대처가 더욱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시속 50㎞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돌발상황에서 브레이크를 1초 늦게 사용하면 약 14m를 더 주행 후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이 때문에 교통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소비자원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보면 182명(60.7%)은 비고령자보다 교통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답했다.
그 이유(중복응답)로는 '판단력이나 반응속도 저하'를 꼽은 응답(174명·95.6%)이 가장 많았고 '시력 저하'(132명·72.5%), '운동신경 저하'(120명·65.9%), '지속적인 약물 복용 경험'(18명·9.9%) 등이 뒤를 이었다.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이 있는 고령자용 보조 차량 도입'(188명·62.7%)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우리나라는 2023년 1월 시행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고령 운전자 차량에 대한 비상자동제동장치 설치를 의무화했다.


하지만 돌발 상황에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혼동할 여지가 큰 만큼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장착한 차량 보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소비자원은 제언했다.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는 차량 센서가 전후방의 차량이나 장애물을 인식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대신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엔진 출력을 억제함으로써 급가속을 막는 장치다.
고령 운전자가 많은 일본의 경우 비상자동제동장치와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함께 설치된 차량의 인증·보급을 장려하는 추세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부처와 공유하고 이러한 점을 건의할 예정이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4071017272546971_1720600045.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