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전략 기술 확보 도전 기업에 세액 공제 등 실질 지원

정부가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해 과감하게 도전하는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가전략기술 관련 예산을 올해 6.4조 원보다 확대하고, 세액 공제 등 제도적 지원에도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데 민관이 함께 총력을 다하기 위해 개최한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신산업, 미래 공급망 및 국가안보 차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R&D)에 투자·지원을 집중해왔고, 올해는 6.4조원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국내 주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의 대표들이 참석한 미래대화에서 정부는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육성을 위해 R&D 투자가 무엇보다 절실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정부 R&D 투자 확대뿐만 아니라 기업이 연구기관과 긴밀히 협업해 국가전략기술을 신속하게 사업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가전략기술을 중심으로 내년 예산을 올해 6.4조원보다 더욱 확대하고, 민간 R&D 투자 촉진을 위해 국가전략기술 세액 공제 등 관련 제도가 실질적으로 기업의 과감한 도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국가전략기술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해 기술 분야별, 산업별로 인재가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세계 최고 인재 유치 방안 등을 강구하기로 했다.


또 미래대화 실무추진위원회를 통해 국가전략기술 성과가 신속하게 창출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발전시켜 나가고,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국가과학기술연구회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관계부처를 아우르는 범국가적 협업 체계를 갖추고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미래대화 이후 참여기관 및 관계부처 등으로 구성된 실무추진위원회를 주기적으로 개최, 국가전략기술 아젠다 발굴 및 규제·제도 개선방향 등을 논의한다.
오는 9월 산·학·연과 글로벌 싱크탱크 등이 함께 하는 '국가전략기술 서밋'을 개최해 실무추진위에서 논의된 방안을 발표하고, 향후 추진사항 등을 공유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나날이 심화해 가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민·관 역량을 총 결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재를 키우고 우수 인재 이탈은 막되 세계 최고의 인재가 유입되는 인재 생태계를 구현하고, 국가전략기술 우수 성과가 신속하게 사업화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미래대화에 이어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을 갖고, 국가전략기술을 보유·관리·개발 중인 ㈜알지노믹스·(유)디씨티 머티리얼·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진코어·㈜레티널·㈜인이지 등 6개 기업 대표 및 연구소장에게 확인서와 현판을 수여했다.


유 장관은 확인서를 받은 기업인들에게 "미래 대한민국의 대표기업으로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성장을 통해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에 힘써 주시길 부탁드리며,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22411161343363_1740363374.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