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산 식품에 대해 25%의 관세 부과를 결정하면서 국내 식품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생산시설이 없는 식품 기업들은 이번 조치로 인해 수출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 '상호 관세'를 명분으로 주요 수출국을 겨냥한 고율 관세 정책을 예고하면서 한국을 직접 지목했다.
업계는 김치, 라면, 고추장, 소주 등 이른바 K-푸드 전반이 관세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3월 농식품과 농업 연관 산업을 포괄한 'K-푸드 플러스'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31억8000만달러(4조6000억원 상당)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농식품 수출액은 24억8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9.6% 늘며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였다.
북미 시장 수출은 21.7% 증가한 4억8700만달러였다.
특히 라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3% 급증한 3억4400만달러에 달하며 수출 성장을 견인했다.
CJ제일제당, 농심, 오리온, 대상 등 미국 현지 생산공장을 이미 보유하고 있어 이번 관세 전쟁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기업은 미국 현지 생산·유통 구조를 갖추고 있는 만큼 관세 적용을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CJ제일제당의 경우 해외 식품 사업 매출(5조5814억원) 중 미국 매출 비중이 84%(4조7138억원)에 달한다.
CJ제일제당은 현지에 20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사우스다코타에 신규 공장도 건설하고 있다.
농심은 미국에 2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매출(1조3000억원) 중 미국 비중은 40% 수준이다.
CJ 관계자는 "미국 판매 제품은 현지 생산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반면 삼양식품, 오뚜기, 빙그레, 하이트진로 등은 대부분 국내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고 있어 관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삼양식품의 경우 '불닭볶음면'이 미국에서 K-라면 열풍을 이끄는 대표 제품으로 자리 잡았지만, 25%의 관세가 더해지면 소비자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전체 매출(1조7280억원) 가운데 해외 매출(1조3359억원) 비중이 77%에 달한다.
이 중 미주 지역 매출은 28%에 해당한다.
오뚜기는 수출 비중이 전체의 10% 수준이며, 미국 내 생산거점 마련을 위해 2027년 완공을 목표로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K-푸드는 현지 식료품과 직접 경쟁하는 구조는 아니지만, 관세 부과 시 가격 경쟁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현지 소비자 구매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관세 영향으로 인해 미국 내 제품 소비자가가 20~30%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25%의 관세는 가격 경쟁력을 무너뜨릴 수 있는 수준"이라며 "미국 내 소비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거나 현지생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현지 판매법인과 다각도로 검토하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임혜선·한예주·구은모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