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인프라 기업 SK일렉링크가 글로벌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은 법적 규제와 관계없이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으로,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SK일렉링크는 글로벌 인증기관을 통해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발행받을 예정이다.
SK일렉링크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전기차가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하고, 내연기관 차량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저감해 탄소배출권을 지급받는 방식이다.
SK일렉링크는 탄소배출권 사업으로 수익이 발생할 경우 충전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품질 개선에 재투자한다.
탄소배출권을 연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여 마켓 리더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SK일렉링크는 전국 4800여 급속충전기 등 보유, 2023년부터 충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오는 2033년까지 자발적 탄소배출권 320만t 확보라는 목표를 세웠다.
탄소배출권 320만t은 1억 그루 이상 나무가 연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양이다.
SK일렉링크 관계자는 "충전시설을 이용하는 고객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실시한다는데 큰 의미를 두고 ESG 가치를 제고하는 것과 동시에 고객 중심의 서비스 수준을 더욱 높이며 전기차 충전업계를 지속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