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대해 25% 수준의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재계는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일본과의 공조를 비롯한 민·관 공동 대응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3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긴급 세미나를 열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은 기업들의 대미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일본과의 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일 간 전략적 협력이 중요해졌다"며 "미국과 중국을 상대하는 데 있어 비슷한 처지에 있기 때문에 협력 수준을 높인다면 협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했다.

이는 공급망 안정, 기술패권 경쟁 등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실제로 기업들은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최근 "일본과의 교류 등을 통해 (제조) 비용을 상호 절감할 수도 있고 시너지를 낼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중국에 이어 일본을 찾아 통상 리스크를 헤쳐나갈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일본과의 기술 협력, 공동 투자, 대미 로비 강화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관세 조치에 대한 실질적 대응 방안을 가다듬고 있다.
재계는 한국과 일본이 모두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만큼 양국의 전략적 연대가 현실적인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반도체·첨단소재 등 글로벌 공급망 핵심 산업에서 양국이 공동 이익을 도모한다면,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보다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를 위해 양국 경제단체 간의 정례 협의체 신설, 공동 성명 발표, 워싱턴 정계 대상 공동 로비 등 다각적 협력 방안이 거론된다.
여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배경에 대해 단순한 보호무역주의를 넘어선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세에 대해 감세를 위한 세수 확보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속도·범위·규모 등을 보면 1기 때와 비교가 안 되게 과감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과도한 우려로 산업계가 위축되는 것은 경계했다.
그는 "관세를 산정한 근거조차 공개되지 않고 있다"며 "이런 정책 발표에 휘둘리지 말고 장기적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은 "미국 기업과 경쟁하는 업종일수록 관세 부담이 커진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게 될 다른 국가들과 '레이스'가 시작된 셈"이라며 "기업들의 입장에선 물량 조절, 대체 공급망 모색 등 현실적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